경기도는 법무부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에 최종 선정돼 내년까지 외국인 우수 인재 유치를 위한 ‘경기도형 광역비자’를 본격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그래픽=법무부)
경기도형 광역비자는 특정활동(E-7) 비자 분야를 대상으로 한다.
여기에는 공학 분야 기술자와 데이터·네트워크 전문가 등 12개 직종이 포함된다.
도는 전국 E-7 계열 쿼터(1210명)의 52%에 해당하는 총 630명 분의 광역비자 쿼터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도는 산업현장에 필요한 외국인 인재를 지역 실정에 맞게 직접 설계하고 비자 유형을 구성하는 새로운 비자 정책을 시행한다.
비자 대상 직종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통신공학 기술자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웹 개발자 △데이터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정보 보안 전문가 △전자공학 기술자 △로봇공학 전문가 △요양보호사 등 총 12개 분야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중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이상 이수자(한국어능력시험
또 기존에는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만 비자 취득이 가능했던 로봇공학 전문가 직종이 학사 학위 취득자(외국대학 졸업 후 1년 경력 보유 시)까지 확대됐다.
요양보호사 직종은 내국인 고용 기준이 기존 20%에서 30%로 완화되면서 외국인 취업 기회가 늘어날 전망이다.
도는 이번 광역비자 도입을 통해 단순한 외국인 노동력의 ‘양적 도입’이 아닌 ‘우수 인재 유치’에 집중할 방침이다.
체류 관리 정책도 기존의 ‘단속·제재’ 중심에서 ‘우대·자발적 관리’ 체계로 전환해 안정적인 인력 정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원규 이민사회국장은 “경기도형 광역비자는 글로벌 인재를 유치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첨단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