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인 지난 4월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수사팀은 지난 2월 창원지검에서 명씨 사건 일부를 넘겨받은 뒤 김 여사와 소환 일정을 조율해 왔다. 특히 수사팀은 공천개입 의혹 등에 대해서는 대면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취지의 의견을 여러 차례 김 여사 측에 전달했다. 하지만 김 여사 측은 수사팀의 이같은 요청에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는 윤 전 대통령과 함께 2022년 6·1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에 개입했단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구체적으로 윤 전 대통령 부부가 명씨로부터 지난 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여론조사 도움을 받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공천을 약속했다는 것이다. 실제 명씨는 대선을 앞두고 윤 전 대통령을 돕기 위해 81차례의 공표·비공표 여론조사를 했다. 3억7520만원의 비용은 명씨가 운영하는 미래한국연구소가 부담했다.
아울러 김 여사는 지난해 열린 4·10 총선 공천개입 과정에서도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명씨 측은 김 여사가 지난해 2월 김 전 의원에게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김상민 전 검사가 당선될 수 있도록 지원하면 선거 이후 장관 또는 공기업 사장 자리를 주겠다고 제안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밖에도 2022년 지방선거 포항시장 후보 등 선정 과정에도 개입했단 의혹도 제기됐다.
만일 김 여사가 출석에 응한다면, 처음으로 검찰청 조사를 받게 된 셈이다. 그동안 김 여사는 영부인 신분으로 각종 의혹에 대한 수사에도 불구하고 검찰청 조사를 받은 적은 없다. 검찰은 지난해 7월 명품가방 수수 의혹, 도이치모터스(067990) 주가 조작 의혹 수사 당시 검찰청이 아닌 대통령경호처가 관리하는 부속 청사에서 이른바 ‘방문 조사’한 전례가 있다. 검찰은 당시 방문 조사에 대해 경호상의 이유라고 해명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의 파면으로 더 이상 영부인 신분이 아닌 만큼 소환 조사를 피할 명분은 사라졌다. 그럼에도 김 여사가 출석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법조계에서는 김 여사가 이번 주 출석에는 응하지 않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다만 김 여사의 불출석에도 수사팀이 당장 체포영장을 청구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몇 차례 소환통보를 하며 명분을 쌓은 뒤 체포영장을 밟는 수순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법조계 관계자는 “명품가방 수수와 도이치모터스 의혹 수사에서 보여준 태도를 봤을 때 당장에 소환에 응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검찰 역시 몇 차례 소환을 더 통보한 뒤 체포영장을 발부받는 등 강제수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