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적으로 무더위가 이어진 지난달 30일 오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광암해수욕장에서 양산을 쓴 시민이 산책하며 무더위를 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같은 현상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을 비롯해 전국에서 발생했다. 강원도 강릉에서는 간밤 29.7도를 기록해 전국에서 가장 무더웠다. 또 충북 청주(26.3), 전남 목포(25.8), 경북 포항(27.4) 제주 서귀포(27.3) 등에서도 열대야가 나타났다.
이날은 전국 각지에서 비 소식도 예보돼 있다. 예상 강수량은 △서울·인천·경기 5~40㎜ △강원내륙·산지 5~40㎜ △대전·세종·충남, 충북 5~40㎜ △전북 5~50㎜ △광주·전남 5~40㎜ △경남 서부 내륙, 대구·경북 내륙 5~40㎜로 예보됐다.
비 온 뒤에도 뜨거운 날씨는 이어진다.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한반도 남쪽 지역에서 고온다습한 수증기가 남서풍을 타고 국내로 계속 유입되고 있다. 여기에 비가 내리지 않는 지역은 낮 동안 햇볕에 의해 지면이 달궈져서 최고 체감온도는 당분간 33도 내외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비나 소나기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일시적으로 기온이 내려가겠으나 비나 소나기가 그친 뒤에는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낮 동안 다시 기온이 올라 무덥겠다”고 내다봤다.
한편 이날 10시 기준 경기와 영호남, 제주도 일부 지역에 폭염 특보가 내려져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야외 활동과 외출을 자제하고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 관리를 철저히 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