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일 3년간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R&D)’을 수행할 지역 국립대병원 5개소를 최종 선정했다.
복지부는 지역의료 살리기의 핵심 과제로서 국립대병원을 필수·공공의료 체계의 중추 기관으로 육성 중이다. 이를 위해 교육·연구·임상 기능의 균형잡힌 발전이 필요하다는 진단 하에 △우수인력 확충 △인프라 첨단화 △혁신적 R&D 지원 △모래주머니 규제혁신(총인건비·정원 통제 등 의료정합성 낮은 규제 합리화 방안 마련) 등의 패키지형 지원을 기획하여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국립대병원은 균형 잡힌 연구·진료 수행을 통해 인력양성의 요람이 되어야 함에도, 열악한 지역 국립대병원의 연구 인프라가 장애요인이라는 현장 의견이 지속됐다. 복지부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연구-임상의 선순환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 간 의료격차 개선의 핵심 주춧돌로서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 사업(R&D)’을 본격 착수한다.
‘지역의료연구역량 강화 사업(R&D)’사업은 3년간 국립대병원을 대상으로 보건의료 R&D의 핵심 요소인 △인프라(코어 퍼실리티)△연구 △지원체계’를 패키지 형태로 지원(3년간 약 500억원, 기관별 100억원 내외)한다. 우선 지역 국립대병원의 연구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와 병원별 자체 특화 연구 수행을 위한 특화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지역 국립대병원이 지역의 산·학·연·병 등과 협력해 연구계획을 수립하면 이에 대해 블록펀딩(묶음예산지원) 방식으로 연구비를 지원한다. 아울러 ‘지역의학 연구협력 지원센터’ 운영도 지원해 안정적 연구수행을 위한 장비 활용, 자료수집·분석 담당 전문인력 운영 시스템도 갖추게 할 계획이다. 연구 분야와 방식은 지역의 필수의료 여건과 연구 수요를 종합해 국립대병원이 자유롭게 기획·추진할 수 있다.
이번에 모든 지역 국립대병원이 사업 참가를 신청했다. 서류 및 발표평가를 거쳐 강원대병원,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남대병원이 지원 대상으로 최종 선정됐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전국 어디에서든 제때 치료받을 수 있는 필수·공공의료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임상 인프라 투자와 함께 시너지를 발휘할 것”이라며 “모든 국립대병원이 수도권 대형병원에 버금가는 연구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본 사업을 시작으로 R&D 관련 투자도 전폭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