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
에어컨 전기세를 잡으려면 먼저 에어컨 종류가 ‘정속형’인지 ‘인버터형’인지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실외기 작동 방식에 따라 나눠지는데, 실외기가 가동될 때 팬이 같은 속도로 돌아가면 정속형,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지면 인버터형이다. 2011년 이전 출시 제품은 대체로 ‘정속형(구형)’, 이후 제품은 ‘인버터형(신형)’으로 나뉜다.
정속형 에어컨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껐다 켜는 게 효율적이다. 희망 온도가 되면 실외기가 꺼지고, 실내 온도가 다시 올라가면 실외기가 최대 출력으로 작동하면서 전력을 많이 쓰기 때문이다.
반면 인버터형 에어컨은 계속 켜두는 편이 좋다.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약한 출력으로 작동해 온도를 유지한다. 처음에는 희망 온도를 낮게 설정해 빠르게 냉방한 뒤 26도 안팎의 적정 온도로 올려두면 전기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사용해 공기 순환을 빠르게 하거나 에어컨 필터와 실외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 냉방 효율을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찬 공기는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스탠드형 에어컨은 바람 방향을 위쪽으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일정 온도에 다다랐을 때 냉방보다 제습 모드가 전기요금 절감에 유리하다는 의견에 대해선 환경에 따라 다르다. 전문가들은 그날의 기온이나 습도, 집의 구조 등에서 차이가 있는 만큼 ‘정답’은 없다는 입장이다. 단시간 외출의 경우 냉방을 계속 틀어두는 게 좋고 습도가 높을 때는 냉방보다는 제습 기능을 사용하는 게 좋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실외기 과열도 전력 소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외기에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도록 차광막을 덮거나, 주변에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추면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기요금 할인 제도 등도 활용하면 좋다. 한국전력이 운영하는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에 가입하면, 직전 2년 같은 달 평균보다 3% 이상 전기를 절약했을 때 절감한 양에 따라 kWh당 30~100원이 다음 달 요금에서 차감된다.
자영업자의 경우 문을 열어둔 채 영업하는 ‘개문 냉방’을 피해야 한다. 문을 열고 냉방할 시 문을 닫고 에어컨을 켤 때보다 전력 소비가 최대 3~4배 늘어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