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 대발생은 소강세…24시간 대응반 지속 운영

사회

이데일리,

2025년 7월 11일, 오후 02:10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최근 수도권을 덮친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의 대발생이 소강세로 접어든 가운데 당국이 24시간 대응반을 지속 운영하기로 했다.

붉은등우단털파리(별칭 러브버그). (사진=환경부)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 기관 협업을 통해 러브버그 등 곤충 대발생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를 재점검하고 이를 확대 개편한다고 밝혔다.

최근 인천 계양산 등 수도권 서부를 중심으로 러브버그가 대량으로 발생해 국민 불편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환경부는 11일 오전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자체를 비롯해 국립생물자원관 등 관계기관, 학계 전문가와 곤충 대발생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1일에 있었던 1차 회의에 이은 후속 회의로서 대발생에 대비한 기관별 역할, 기관 내 대응 절차를 재점검하고, 유관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강화해 신속한 대응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1차 회의에서는 지자체별 러브버그 방제, 사체 처리 등 관리 현황 및 관리 방법 논의, 국립생태원·국립공원공단 등 관련 기관 협력 확대를 논의했다.

1차 회의 이후 기존의 환경부, 서울시, 국립생물자원관으로 구성된 곤충 대발생 대응체계에 인천시, 경기도까지 협력 지자체를 확대하고, 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추가하는 등 대응 협력 체계를 한층 보강했다.

이날 회의에서 환경부는 국민 생활에 큰 불편을 일으키는 대발생 곤충의 관리를 위한 제도 정비, 대발생 예측 및 관리 기술 연구개발(R&D) 확대 등을 중점 논의했다.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는 러브버그 및 동양하루살이, 대벌레, 깔따구 등 대발생 가능성이 있는 곤충에 대한 지자체별 대응현황과 기관별 대응 체계를 공유하고, 대발생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 태세를 점검한다.

환경부 소속기관인 국립생물자원관은 대발생 잠재 곤충에 대한 감시(모니터링) 현황, 방제 기술 및 요령 등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공유한다.

또 환경부 산하기관인 국립생태원과 국립공원공단은 외래종 유입 현황을 공유하고 국립공원 내에서 일부 곤충이 대발생할 경우 현장 안전 관리 지원 방안을 논의한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4일부터 11일까지 일주일간 러브버그 대발생으로 주민 불편이 심했던 인천시 계양산에 환경부 소속 인력을 파견하고 광원 활용 포충기, 포충망 등 방제장비를 긴급 투입해 현장 수습에 총력을 기울인 바 있다. 환경부는 인천시 계양구청과 협업해 방제, 사체 수습 및 청소를 실시했으며, 현재는 러브버그 사체 잔재물 제거 등 현장 수습이 마무리된 상황이다. 수도권 러브버그 대발생은 7월 초를 기점으로 소강 상태로 전환됐으며, 7월 중순에는 전국적으로 대발생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는 과거 곤충 대발생 사례를 고려할 때, 7월 이후에도 러브버그 외 다른 곤충들이 언제든 대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24시간 가동하는 비상 대응 대책반을 지속 운영해 대발생 상황 초기에 적극 대응해 국민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환경부는 올해 계양산의 러브버그 사례처럼 곤충 대발생으로 인한 국민의 피해를 막기 위해 관계기관과 사전 준비를 철저하게 하겠다”며 “곤충 대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현장의 애로점을 개선하고, 행정적·재정적 지원은 물론 제도적 개선에도 신속히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