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5월 서울 중구 흥인초등학교에서 열린 소방합동훈련에서 학생들이 화재대피훈련을 하고 있다. 2024.5.27/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교육부는 소방청과 협력해 노후 공동주택 밀집 지역 인근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화재 안전교육'을 긴급 확대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최근 부산에서 발생한 아파트 화재로 어린이 인명피해가 발생하자, 정부가 '관계기관 합동 긴급 대책 회의' 후 진행하는 후속 조치 중 하나다.
이번 교육은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이론과 체험을 혼합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소방청 소속의 소방 안전 강사가 학교를 직접 방문하거나 관할 지역의 소방 체험관과 소방안전교실 등 가용 자원을 활용해 이론 교육과 실제 체험을 병행한다.
특히 소화기 사용법과 심폐소생술 실습, 화재 대피 훈련 등을 중심으로 보호자가 없을 때도 어린이 스스로 위험 상황에 대처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교육부는 여름방학 전까지 취약 지역 초등학교 저학년을 우선 대상으로 선정해 집중적으로 화재 안전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2학기부터는 대상 학교를 유·초·중·고 등으로 확대해 지속적인 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다.
각 시도교육청은 여름방학 전까지 화재·폭염·물놀이 등 안전교육이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조례·종례 시간 등을 통해 내실 있게 이뤄지도록 안내하고 독려할 방침이다.
한편 학교안전공제중앙회는 학교안전지원시스템 누리집에 동영상·지도안·활동지 등 교육자료를 상시 탑재하고 있다. 교원·학생·학부모 등 국민 누구나 이를 내려받아 학습하거나 안전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kjh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