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3일 서울 서초구 원명초등학교에 마련된 서초구 제3투표소에서 투표를 하기 위해 줄을 서 있다. (공동취재) 2025.6.3/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김건희 여사의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김건희 특검팀)이 이번주 부터 '공천개입' 의혹에 대한 수사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그동안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코바나컨텐츠 뇌물성 협찬 의혹 등 재계에 집중됐던 수사가 정치권을 조준하기 시작하면서 야권을 향한 압박이 시작되는 모양새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건희 특검팀은 공천 개입 의혹에 연루된 핵심 인물들의 소환 조사를 검토 중이다.
특검팀은 지난 8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과 김영선 전 의원, 김상민 전 부장검사 주거지, 사무실 등 10여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한 바 있다.
김 전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게 2022년 보궐선거 공천을 청탁하고 회계담당자였던 강혜경 씨를 통해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에게 8000여만 원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윤 의원은 당시 재·보궐선거의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이었다.
김 전 부장검사는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지난해 4월 국민의힘 예비후보 당시 김 여사가 공천 과정을 도와줬다는 의혹이 제기됐으나 결국 배제됐다.
특검은 2022년 6월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이던 정진석 전 대통령비서실장도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에 연관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특검팀은 앞선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압수물의 분석을 마치고 이번 주부터 관련 인물들에 대한 소환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특검은 소환 조사를 통해 공천 실무에 관여한 인물들과 김 여사의 연결 고리를 찾는데 수사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의혹 규명을 위해서는 김 여사가 공천 과정에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에 대한 명확한 입증이 있어야한다.
조사 대상자들이 어떤 진술을 하느냐에 따라 특검의 수사 방향이 김 여사의 소환이나 신병 확보로 이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이번 수사를 통해 당시 공천의 공정성에 문제가 발견될 경우, 이는 향후 정치권 전반에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선거 개입이 확인되면 법적 처벌뿐만 아니라 야권의 정치적 책임론도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한편 특검팀은 오는 16일 '명태균 게이트'를 폭로한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 강혜경 씨를 소환조사할 예정이다.
s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