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6.3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를 앞둔 14일 자신의 논문 중복게재 의혹과 관련해 "충남대 총장 임용 과정에서 의혹이 제기된 두 논문을 포함해 2007년부터 2019년 사이 발표한 학술논문에 대해 부당한 중복게재 등 '연구 부정 없음'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 제출한 서면질의답변서를 통해 "(충남대에서)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해 연구 윤리 검증을 엄격하게 시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인사청문 대상의 국회 서면질의답변서는 청문회 개최 이틀 전까지 제출해야 한다.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오는 16일 열린다.
그는 2018년 각기 다른 학회지에 발표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와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 논문에 대한 중복게재 의혹을 받고 있다.
이 후보자는 "두 논문은 해당 연구 분야의 일반적 실험방법을 통해 각기 다른 주제인 피로감과 불쾌글레어를 연구한 다른 논문"이라며 "다른 평가척도·등급·지표에 따른 실험 결과를 활용한 세부 결론이 다른 개별 연구 성과물"이라고 반박했다.
또 "이공학 분야 석박사 과정의 학위논문은 지도교수의 연구주제 설정과 학문적 지도 등을 통한 공동의 연구 성과물인 경우가 일반적"이라며 "특히 지도교수가 연구책임자인 국가연구개발 과제 등에 참여해 세부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지도교수와 함께 공동으로 학술논문을 발표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연구자 간 역할과 기여도에 따라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 여부가 합의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과 관련해선 "의혹이 제기된 논문 대부분은 국가 연구과제 일부를 활용하여 작성한 논문으로, 실질적 저자(제1저자)는 연구책임자인 후보자"라며 "논문의 저자 자격은 해당 논문에 대한 기여도 등에 따라 공동 저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위 원칙에 따라 제자의 기여도가 높은 논문은 제자를, 지도교수로서 후보자의 기여도가 높은 논문은 후보자를 제1저자로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의 중복 게재 의혹 논문 발표 몇달 뒤 대학원 제자 A 씨가 공개한 박사학위 논문과 판박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일각에서는 이 후보자가 A 씨의 연구 업적을 자신의 성과인 것처럼 미리 발표한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이 후보자는 "(의혹을 받는) 두 논문은 산업통상자원부의 'LED시스템조명 빛 환경 평가기술 및 기술표준 가이드라인 개발'(2017년 7월~2018년 6월) 과제의 일부이며, 두 논문을 발전시켜 해당 제자의 박사논문이 완성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녀의 불법 조기유학 논란과 관련해선 "자녀의 유학과 관련해 부모로서 자녀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고 했다.또 "장녀가 먼저 유학한 후, 차녀가 언니와 같은 학교로 유학하기를 희망했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자의 차녀(33)는 지난 2007년 중학교 3학년 1학기를 미국의 고가 유명 보딩스쿨(기숙형 사립학교)로 유학을 떠났다. 장녀(34)는 고교 1학년 때 해당 보딩스쿨에 진학했다. 이 후보자 차녀의 유학은 초·중등교육법의 하위 법령 위반 사항이다. 중학생 자녀의 유학이 인정받으려면 원칙적으로 부모 2명이 모두 외국에서 함께 사는 경우에만 해당되는데, 이 후보자 부부는 당시 한국에 머물렀다.
그는 우리나라 공교육을 신뢰하지 못해 자녀 조기유학을 시킨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자기 경험에 비추어 에둘러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저는 대전에서 나고 자라 대학교 석사까지 대전에서 마쳤다"며 "이러한 공교육 체제 내에서의 경험이 연구자로서의 삶에 큰 자양분이 됐다"고 답했다.
이어 "청문회를 통과한다면 공교육을 통해 받은 은혜에 보답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교육부 장관으로서의 소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유·초·중등교육 전문성 결여 논란에 대해서는 "비록 초·중등 교육의 직접적인 경험은 없지만 지난 30여년간 교육자로서 대학에서 다양한 교육 경험을 쌓아왔고, 초·중등 교육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고민해 왔다"며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고등교육 현장의 전문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유·초중등 분야에 있어서는 다양한 교육 전문가와 현장의 의견을 경청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해 나가겠다"고 했다.
kjh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