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특검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밤 서울중앙지법에서 두 번째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뒤 대기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고 있다. 2025.7.9/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소환조사에 불응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내란 특검팀(조은석 특별검사)이 서울고검 청사 내 조사실로 인치하도록 서울구치소에 지휘 협조를 요청했지만 윤 전 대통령이 거부하면서 조사가 불발됐다.
박지영 내란특검팀 특검보는 이날 오후 서울고검에서 브리핑을 열고 "교정당국으로부터 특검 인치 지휘를 사실상 수행하기 어렵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전혀 응하지 않고 수용실에서 나가기를 거부해 전직 대통령인 점 등을 고려할 때 강제적 물리력 동원이 어려워 난감하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특검은 이런 상황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며 "윤 전 대통령이 오랜 검사 재직 시 형사사법 시스템의 한 축으로 구속 수감자에 대한 조사 업무에 관해 누구보다 더 잘 아시는 분이기에 납득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박 특검보는 "인치 지휘는 구속영장에 수반된 당연한 절차"라며 "피의자 의사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특검팀은 다음 날 오후 2시까지 서울구치소장에 윤 전 대통령을 재차 인치하도록 지휘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박 특검보는 "내일은 반드시 피의자 윤 전 대통령의 조사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박 특검보는 '또 불응하면 물리적으로 끌어내야 하는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있느냐'는 취재진 질의에 "그런 부분까지 가지 않길 바란다"고 답했다.
서울구치소에 직접 방문해 조사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김건희 여사를 방문 조사해서 사회적 비난 여론이 상당했다"며 "구속된 피의자에 대한 방문 조사도 그와 다르지 않다"고 일축했다.
박 특검보는 "구속기소된 경우 재판정에 출석하는 것도 구속영장에 의해 이뤄진다"며 "그 출정을 거부하는 것과 똑같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hy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