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의혹' 고개 숙인 강선우..野 '부적격 인사' 공세 맹폭

사회

이데일리,

2025년 7월 14일, 오후 07:02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가 연 인사청문회를 통해 ‘보좌관 갑질 의혹’에 관해 “제 부덕의 소치”라며 거듭 사과의 뜻을 밝혔다. 위장전입 논란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발달장애 자녀를 언급하며 울먹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자료 제출, 증인 출석을 둘러싼 여야 간 신경전이 이어지면서 청문회는 내내 의원들의 고성으로 얼룩졌다. 국민의힘은 “유체이탈식 화법”이라며 부적격 인사라는 공세를 지속했고 더불어민주당은 “과도한 정치 공세”라며 강 후보자를 방어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보좌관 법적조치 예고한 적도 없어”…자녀 언급엔 ‘울먹’

이날 여권의 ‘낙마 1순위’로 꼽혔던 강 후보자의 청문회는 시작 전부터 삐걱댔다.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는 청문회장 앞에서 강 장관을 규탄하는 시위를 벌였고 야당 소속 여가위원들은 “의원들보다도 늦게 출석한다”며 강 후보자의 태도를 지적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 소속인 이인선 여가위원장의 진행 방식과 함께 야당 의원들이 ‘갑질왕 강선우 OUT’ 등의 문구가 담긴 피켓을 노트북에 부착한 것을 문제삼았다. 이에 개의 13분 만에 정회하며 파행 우려가 고조되기도 했다.

청문회가 재개된 뒤 그간 준비 과정에 대한 소회를 묻는 백승아 민주당 의원에게 강 후보자는 “저로 인해 논란이 있었던 점에 대해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논란 속에서 상처를 받았을 보좌진들께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고 말했다. 자신의 의원실 보좌관을 과도하게 교체하는 등의 사유로 제기된 ‘갑질 의혹’에 대해 언급하고 고개를 숙인 것이다.

집에서 가져온 쓰레기를 대신 버리게끔 했다는 논란에 대해서는 “전날 밤에 먹던 것을 아침으로 먹으려고 차에 가지고 내려간 적이 있는데 그걸 다 먹지 못하고 차에 남겨 놓고 그 채로 내린 것”이라며 “모두 다 제 부덕의 소치”라고 재차 자세를 낮췄다. 자택의 비데를 교체하게 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다소 과장됐다”면서도 “당시 급박해 조언을 구하고 부탁드리는 게 부당한 업무 지시로 보여질 수 있다는 것을 차마 생각하지 못했다”고 다시 사과했다. 해당 문제 제기를 한 보좌관들에 대해 법적 조치를 검토한다고 알려진 부분에 대해서는 “하겠다고 예고한 적도 없다”고 부인했다.

가족이 주민등록상 거주지인 서울 강서구가 아닌 서울 종로구에 거주한다는 의혹에서 불거진 위장전입 논란에 대해서는 “저희 가족이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다”라며 말을 잇지 못하기도 했다. 강 후보자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 세상을 천천히 살아가는 아이가 있다”며 “모두를 곧바로 옮기는 게 아이에겐 굉장히 가혹한 일이었고 본인이 익숙한 환경서 조금씩 강서로 적응할 수 있도록 광화문 집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배우자 관련 스톡옵션 재산 신고 누락과 관련해서는 소명이 부족하다는 야당의 지적이 잇따랐다. 강 후보자는 “과거 거부 의사를 밝혀 정리된 줄 알았으나 취소되지 않았던 상태임을 이번에 인지하게 된 것”이라고 했지만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본인의 주장에 불과하다”며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법이 2020년 시행된 이후 후보자가 국회에 문의한 내역도 없고 자료를 주지도 않는다”고 지적했다. 쌍방울 임원들로부터 쪼개기 후원금을 받고 여태 반환하지 않았다는 의혹에서 부른 증인이 불출석하자 야권에서 고발 요청이 나오기도 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며 감정을 추스르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성평등가족부, 여가부 확대 선행돼야…성차별 분명 존재”

후보자가 생각하는 여가부의 정책 방향과 수장으로서의 역량을 점검하는 질문도 나왔다. 성평등가족부 확대 개편에 대해서는 국회와 국민의 목소리를 듣겠다고 하면서도 “여가부 인력도 늘리고 조직 자체를 키우고 예산을 늘리는 방법이 먼저 선행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제시했다. 윤석열 정부의 여가부 폐지 방침에 대해서는 “성평등 의식이나 가족, 청소년 관련 정책을 후퇴시켜 대한민국의 뿌리를 흔든 것”이라고 비판했다.

젠더 불평등이 존재하느냐는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는 여성 경력단절, 성폭력 피해자 지원 등을 언급하며 “사회 구조적, 문화적으로 성차별이 분명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장관으로 취임하게 되면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싶은 정책으로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 강화’를 꼽은 뒤 “중앙 디성센터 인력은 37명, 예산은 4억4000만원 정도인데 인공지능(AI) 기술로 인해 나날이 고도화하는 디지털 성범죄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할 정도로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