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기습 복귀'에…"학칙 개정에 새 수업과정까지" 대학가 '당혹'

사회

뉴스1,

2025년 7월 15일, 오전 06:00

13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모습. 2025.7.13/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정갈등이 발발한 지 17개월 만에 전격적으로 '전원 학교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교육 당국과 대학들은 수업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대학들은 예고에 없던 급작스러운 복귀 선언에 이미 복귀해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의 수업권을 보호하면서도, 학칙 개정과 같은 교육부 차원의 학사 일정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은다.

15일 교육계에 따르면 '학사 유연화는 절대 없다'던 입장을 고수하던 교육부는 의대생들의 복귀 선언에 종합적으로 검토를 해봐야 한다며 입장을 다소 선회했다.

차영아 교육부 부대변인은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의대생 학사 유연화 방안과 관련해 "현재 학사 유연화를 한다, 안 한다고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종합적으로 검토를 해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책 마련 간단치 않아…새 교육과정 짜고 학칙도 바꿔야"
의대생들의 전원 복귀 선언에 교육부도, 대학도 당혹감을 드러내며부랴부랴 수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회의에 나서는 분위기다. 지역의 한 의대 총장은 "사전에 복귀에 대해 알지 못했다"며 "대책을 마련하는 게 간단하지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수업 거부로 인해 이미 1학기 유급 및 제적 대상인 학생들이 수업에 복귀하기 위해선 학칙 조정이 불가피하다. 대부분 의대가 학칙에 진급을 위한 수업 시수를 40주 이상으로 정하고 있어서, 의대생들의 요구대로 복귀해 수업을 듣고 진급하기 위해선 이런 부분들이 조정돼야 한다.

수업 결손을 보충하기 위해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계절학기, 온라인 수업, 주말 수업 방안 등이 총동원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미 복귀해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과 수업 진도를 어떻게 맞춰나갈지 대책도 필요하다.

서울의 한 사립대 의대 학장은 "이미 복귀해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해 줘야 한다"며 "(의대생들이) 새로 들어오면 그 학생들은 새 교육과정을 짜서 짧은 시간 안에 두 학기를 다 흡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급 처리된 학생들을 유급되지 않도록 학칙을 바꾸는 등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의 한 사립대 의대 관계자는 "필요한 시점에 이미 복귀한 학생과 이번에 복귀하는 학생들의 수업 진도가 합쳐지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24, 25학번의 경우 순차 졸업은 이미 어려워졌다"며 "실습수업 등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해선 학교 교육 부담은 두 배가 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과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12일 복귀를 선언하며 "교육과정의 압축이나 날림 없이 방학, 계절학기를 활용해 수업의 총량 감소 없이 교육받게 해달라"라며 "이는 학사 유연화나 특혜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수업 진도를 맞추기 위해선 학사 유연화가 불가피할뿐더러, 교수 인력 충원이나 강의실 확보에 한계가 있다. 이에 의대 학장들 사이에서도 이번 의대생 복귀 선언에 대한 의견이 갈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40개 의대 총장들의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한 관계자는 "학생들이 복귀하려면 학교마다 규정도 손 봐야 한다"며 "빨리 총장들과 학장들, 교육부가 만나 어떻게 대응할 건지 방향 설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사립대 총장은 "학사 유연화 없이 학생들이 돌아오겠다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아직 학장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고 들었다. 1학기 수업을 이미 안 들은 학생들이 수업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학사 일정을 조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al@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