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7.15/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북한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방사성 오염수가 예성강을 따라 서해로 유입됐다는 우려에 대해 "국민 건강과 안전에 직접 연결된 사안인 만큼,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처럼 동일한 기준에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질의에 이같이 답하며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할 때 국제사회와의 공조, 그리고 과학 기반의 검증 절차가 동시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환경부 역시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관계 부처와 함께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당시 정부는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선제적 감시 체계를 마련해 대응해 왔다"며 "북한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며, 핵 오염수 문제는 정치·외교적 논쟁을 넘어서 국민 생명과 직결된 사안이므로 더욱 엄정하게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예성강 하구와 한강 유역 등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환경 시료 조사를 진행 중이다. 통일부는 "우라늄, 세슘, 중금속 등을 포함한 정밀 조사를 통해 유입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 대응이 핵심이며, 필요하다면 후쿠시마 사례에서처럼 국민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방사능 감시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와 경기도는 현재까지의 자체 방사능 조사 결과를 통해, 접경지역 수질과 수산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최근 5년간 한강에서 세슘이 검출된 사례는 없으며, 일부 지점에서 극소량의 요오드131만 확인됐다"고 설명했고, 경기도 역시 "접경지역에서 채취한 수산물 8종 전 항목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ac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