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 서울 관악구 당곡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스마트콘텐츠 실무'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따라 필요한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기준 이상의 학점을 취득하면 졸업하는 제도다. 2025.3.3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올해 고교학점제 첫 시행 후 현장 부담이 커졌다는 목소리가 잇따르는 가운데 이를 완화하기 위한 개선 방안이 마련된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개선을 위한 고교학점제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자문위가 제시하는 권고안을 토대로 올 하반기 중 학점제 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올해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전면 도입된 고교학점제는 시행 초기부터 부침을 겪고 있다.
현장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표적인 예가 △첫 제도 시행에 따른 생소함과 불편 △다양한 선택과목 개설과 모든 과목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따른 교사의 업무 부담 △학생·학부모의 정보 부족 등이다.
교육부는 보다 실효성 있고 수용성 높은 방안 마련을 위해 각계 전문가와 학생, 학부모가 참여하는 자문위를 구성하기로 했다. 자문위는 교사 10명, 교수 2명, 학생 2명, 학부모 2명 등 총 21명으로 꾸려질 예정이다.
이들이 토의·숙의 과정을 거쳐 권고 의견을 도출하면 교육부는 이를 참고해 개선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자문위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주제별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쟁점을 정리해 집중적으로 토의하게 된다. 현장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 방안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다만 고교 내신 평가와 관련한 사항은 국가교육위원회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시 차기 대입 개편 방안과 함께 논의될 예정이기 때문에 이번 개선안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김천홍 책임교육정책관은 "이번 고교학점제 개선 논의를 통해 학교의 업무 부담과 학생·학부모의 불안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라며 "교육부는 앞으로도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고교학점제의 기본 방향과 취지를 살리면서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해 나가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kjh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