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오후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서 내란특검 2차 대면조사를 받은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2025.7.5/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의 수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 측근들로 향하고 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시작으로 국민의힘으로도 수사가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내란특검팀은 이날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과 관련해 이 전 장관의 주거지와 행안부, 소방청 등 9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 전 장관은 윤 전 대통령 핵심 측근이자 '충암파'(충암고 출신)로 분류된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MBC, JTBC, 여론조사 꽃의 단전·단수 지시를 받고 소방청장에게 전화해 "경찰로부터 단전·단수 협조 요청이 오면 조치하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이 전 장관은 단전·단수 문건을 멀리서 봤을 뿐이라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특검팀이 확보한 폐쇄회로(CC)TV 영상에선 이 전 장관이 대통령실 대접견실 테이블 위에 있는 문건을 들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의 계엄해제 표결을 막으려 했다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 선포 당일 당시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의원과 나경원 의원과 각각 통화했는데,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해제 표결에 불참하도록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 선포 직후인 오후 11시 22분에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의원과 1분가량 통화하고 11시 26분에는 나 의원과 40초간 통화했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힘 비상의원총회 장소는 국회에서 당사로, 당사에서 다시 국회로 3차례 변경됐고 계엄해제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은 18명에 그쳤다.
당사자들은 공모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윤 전 대통령도 특검 조사에서 해당 통화에 대해 '계엄을 사전에 알리지 못해 미안하다는 취지'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특검은 외환 혐의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팀은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과 관련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과 이승오 합동참모본부작전본부장도 이날 소환 조사했다.
한편 오는 18일에는 윤 전 대통령 측이 청구한 구속적부심 심문기일이 열릴 예정이다.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9-2부(부장판사 류창성)는 18일 오전 10시 15분에 구속적부심 심문기일을 진행한다. 윤 전 대통령은 심문에 직접 출석해 건강 문제를 호소하겠다고 밝혔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기간 연장 없이 곧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bright@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