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3.11/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내란 특검의 김영호 통일부 장관 소환 조사가 약 12시간 만에 종료됐다.
내란 특검은 20일 "오후 10시 10분 김 장관이 조사를 마치고 퇴실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10시 참고인 조사가 시작된 지 12시간 10분 만이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전 국무회의를 열고 일부 국무위원들만 소집해 나머지 위원들의 심의·의결권 행사를 방해했다고 보고 있다.
당시 회의에 참석자는 비상계엄 사태 정점인 윤 전 대통령을 비롯해 한덕수 전 국무총리, 조태열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다.
김 장관은 당시 오후 8시 35분쯤 대통령실에 도착해 비상계엄 선포 사안을 처음 인지했고 이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 내란 특검의 참고인 조사를 앞두고 9시 46분쯤 특검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도착했다.
김 장관은 '비상계엄 직전 국무회의 어떻게 참석하게 됐는지' 등 취재진의 질문에 묵묵부답했다. '오늘 어떤 부분 소명하고 싶은지'에 대한 추가 질문에도 답하지 않았다.
앞서 지난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도 김 전 장관을 소환해 계엄 선포 인지 시점과 계엄 해제 국무회의 불참 이유 등을 조사한 바 있다.
특검팀은 최근 한 전 총리와 국무회의에 불참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주호 교육부 장관 등 국무위원과 김주현 전 민정수석 등 대통령실 관계자들을 줄줄이 소환해 조사했다.
s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