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서구 오류동 국립환경과학원 © 뉴스1
천리안위성 2B호의 환경과 해양 관측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21일 대전 케이더블유컨벤션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과 우주항공청, 국립해양조사원이 공동 주최하며 관련 기관과 학계, 민간 전문가 약 30명이 참석한다.
1부에서는 해양 분야 활용 사례가 발표된다. 국립해양조사원이 위성의 해양 관측 활용 내용을 소개하고, 울산과학기술원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위성자료 해석 방식에 대해 발표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부유 조류 모니터링 적용 사례를, 유에스티21은 민간 활용 관련 내용을 설명한다.
2부에서는 대기환경과 관련한 발표가 이어진다. 환경과학원이 위성자료의 환경 관측 활용 사례를 발표하고, 아주대는 대기오염 배출량 추정 정확도 개선 방안을 소개한다. 한국환경연구원은 대기질과 건강 영향 간의 상관성 연구를, 연세대는 위성기반 대기환경 관측 결과를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우주항공청은 후속 위성인 천리안위성 6호 개발 계획도 발표할 예정이다. 발사 시점은 2033년으로 예정돼 있다. 종합토론에는 김준 연세대 교수가 좌장으로 참여하며, 발표자와 참석 전문가들이 위성자료 활용에 관한 쟁점을 논의한다.
천리안위성 2B호는 2020년 발사된 이후 에어로졸, 오존 등 주요 대기오염 물질의 분포를 관측해 왔다. 같은 해 11월에는 아시아 지역 대기질 자료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환경과학원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미국, 유럽, 국내 연구진과 공동조사에 참여하며 위성자료의 신뢰도를 검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에서 논의된 내용은 천리안위성 6호 개발과 위성 정책 결정에 참고될 예정이다.
ac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