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첫날, 10분 만에 매진…“출퇴근 못해”vs“관광용 재밌어”

사회

이데일리,

2025년 9월 18일, 오후 04:05

[이데일리 권혜미 기자] 새 수상교통 수단인 한강버스의 운행 첫날, 첫차부터 매진될 만큼 인기를 끌었다.

1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서울 강서구 마곡 선착장에는 서울 첫 수상 대중교통인 ‘한강버스’를 타기 위해 수백명의 시민들이 모였다.

오전 10시 30분 선착장 밖까지 사람들이 늘어서자 한강버스 직원들이 11시 배를 탈 수 있는 대기표 150장을 나눠주기 시작했고, 몇 분이 채 지나지도 않아 마감됐다. 11시 배가 떠나 조금 한산해지면서 다음 편인 12시 30분 배에 탑승하기 위한 대기표를 배부했는데 이 역시 11시 10분께 매진됐다.

한강버스가 정식 운항을 시작한 18일 서울 송파구 한강버스 잠실 선착장에서 시민들이 승선을 기다리고 있다. 한강버스는 총 8척의 선박이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뚝섬-잠실 7개 선착장, 28.9㎞를 오간다.(사진=연합뉴스)
운항 첫날 사람들이 몰리자 임시 대기표를 나눠주는 과정에서 혼란도 빚어졌다. 일찍 도착해 기다렸는데도 대기표를 못 받은 사람이 많아 곳곳에서 “이미 티켓을 구매했는데 왜 못 탄다는 거냐”는 항의가 이어지기도 했다.

선박장 키오스크에서는 어린이·청소년 티켓을 구매할 수 없어 몇몇 시민이 불편을 호소했다. 4살 아이를 데려온 박한솔(38)씨는 “어린이 표 발권하는 창이 아예 없고 오로지 성인 요금만 받는다”면서 “직원들이 아이를 무릎 위에 앉혀놓고 타라는데 배 위에서 2시간을 어떻게 그러냐”고 말했다.

12시 30분이 되자 마곡 선착장에서 한강버스가 정시 출발해 물살을 가르며 나아갔다. 승객들 대부분은 창가 좌석 쪽에 앉은 뒤 통창을 통해 한강의 경치를 감상하고 사진을 찍었다.

한강버스의 속도는 시속 22∼23㎞로 자전거보다 조금 빠른 정도지만 눈요기를 즐기다 보니 느리거나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았다.

이날 기온은 24도 안팎이었는데 선내는 에어컨이 가동돼 시원했다. 소음도 옆 사람과 조용히 대화하기에 문제없는 수준이었다.

다만 한강버스를 여가용만이 아니라 출퇴근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를 두고는 시민들의 반응이 엇갈렸다.

사진=연합뉴스
10시부터 나와 탑승하기 위해 기다렸다는 조승현(36)씨는 “마곡에서 2시간 걸려 잠실까지 출퇴근한다면 무리겠지만 여의도가 직장이라면 충분히 이용해볼 만 하다”고 말했다.

반대로 이모(26)씨는 “다른 대중교통은 한 번 놓치더라도 15분쯤 지나 다음 차가 오는데 한강버스는 90분 후에야 온다”면서 “출근용으론 탈 수 없다는 거다. 여행용, 관광용으로는 재미있겠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갑작스럽게 폭우가 내리면 결항하거나, 운항 중일 땐 인근 선착장에 하선해야 할 것이란 우려도 나왔다.

조씨는 “안전에 민감할 수밖에 없겠지만 갑자기 내리라고 하기보다는 미리 좀 알려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갑자기 결항한다면 당황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여가용으로는 이만한 교통수단이 없다는 의견도 많았다.

사진=연합뉴스
이수용(68)씨는 “자전거를 싣고 가려 한다. 배를 타고 가 잠실에서 운동하고 다시 한강버스로 돌아올 것”이라며 “2시간이 조금 긴 듯 해도 바쁘게 갈 이유가 없어 만족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강버스는 마곡에서 잠실을 향하는 상행, 잠실에서 마곡을 향하는 하행으로 구분해 마곡, 잠실, 여의도, 옥수 등 총 7개 선착장 28.9㎞ 구간을 오간다. 199석을 갖춘 8척이 오전 11시부터 1시간에서 1시간 30분 간격으로 하루 14회 운항한다. 10월 말부터는 4척을 추가로 도입해 총 12척을 운용한다.

가격은 편도 3000원으로, 5000원을 추가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무제한 탑승을 할 수 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