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 국회(정기회) 제8차 본회의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2025.9.18/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8일 "국가교육위원회와 함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고등학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을 최대한 의제화해서 다음(2032학년도) 대입 개편 때까지는 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 56%가 동의하고 교육감들도 동의한 수능과 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자 "공감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16일 시도교육감들과 고교학점제를 어떻게 보완할지 협의하면서, 실질적으로는 대입제도 개선이 필요한데 기본적으로 절대평가로 전환할 시기가 됐다는 데 대체로 공감했다"면서도 "다만 대입제도를 손 보고 전환할 때는 국민적 숙의·합의 과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했다.
최 부총리가 추진하려는 대입제도 개편 시점은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대학에 진학하는 2032학년도로 보인다. 그는 지난 2일 인사청문회에서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대입제도 개편 시점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이미 확정된 2028학년도 대입은 어렵고, 다음 2032학년도 대입 개편을 목표로 현재부터 서둘러서 논의하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교학점제가 현장에 안착하려면 수능과 고교 내신 평가 방식을 절대평가로 전환해야 한다는 게 교육계 중론이다. 수능의 영향력을 낮춰야 수능 출제 과목 수강 쏠림 현상을 막고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수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교학점제는 고교에서도 대학처럼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듣고 학점을 받는 제도로 올해부터 전면 시행됐다.
최 부총리는 또 강 의원의 '13년째 청소년 사망 원인 1위인 자살이고 그 이유가 입시 스트레스'라는 지적과 관련해 "지난해 통계를 보면 극단 선택 학생은 221명, 학교 밖 청소년까지 포함하면 370명이 넘는, 매년 세월호 규모의 아이들이 죽어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이 문제에 관해 여러 부처가 같이 힘을 모아야 하지만, 교육부에서 가장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이 숫자를 줄이고 없어질 때까지 가장 우선한 정책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kjh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