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이티미지)
A씨는 2024년 6월 18일부터 7월 8일까지 총 143억원의 범죄수익을 자신의 사업자 계좌로 받아 현금·수표로 인출한 뒤 백화점 상품권으로 바꿔 사기 조직에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여기에는 보이스피싱·주식 리딩방 등 사기 조직이 피해자 26명으로부터 가로챈 약 14억원이 포함됐다.
A씨는 문신시술소, 오토바이 배달업 등에 종사하던 중 우연히 알게 된 남성으로부터 ‘상품권으로 돈을 쉽게 벌 수 있는 사업이 있다’는 제안을 받고 지난해 6월 12월경 상품권 업체를 차리고 사업자 계좌를 개설했다.
앞서 각 지방 경찰청 7곳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피해자 9명의 개별 피해 신고를 접수했다. 당시 확인된 피해액은 9억 5000만원이었고, 경찰은 단순 사기방조 혐의로 A씨를 불구속 송치했다. 이후 사건은 A씨 주거지 관할인 서울서부지검으로 이송됐다. 서부지검은 사건을 병합한 뒤 서울서부경찰서에 여죄 여부, 전체 범행 규모, 자금세탁 가담 경위, 구속영장 신청 등을 포함한 보완수사를 요구했다.
서울서부경찰서는 보완수사 과정에서 최초 송치 당시 포함되지 않았던 피해자 16명과 피해액 41억원을 파악했다. 이후 대규모 자금세탁 정황이 드러나자 서울서부경찰서가 신청한 구속영장을 서부지검이 청구해 법원으로부터 영장을 발부받기도 했다. 검찰은 직접 보완수사를 통해 앞선 과정에서 누락된 40대 여성 피해자도 추가 파악했다.
서부지검 관계자는 “거액의 범죄수익을 교묘히 은닉하며 조직적 사기단의 핵심 역할을 한 자금세탁책에 대해 경찰과 검찰이 긴밀히 협력해 사건 전모를 규명하고 범죄를 엄단했다”며 “이어 “앞으로도 경찰과 협력해 서민다중피해 범죄를 엄정 단속하고 범죄자들이 범죄수익을 향유하지 못하도록 환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