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교진 교육부 장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 국회(정기회) 제8차 본회의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대정부 질문에서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1)
최 장관은 “지난 16일 시도교육감들과 고교학점제를 어떻게 보완할지 협의하면서, 대입제도 개선이 필요함과 동시에 절대평가로 전환할 시기가 됐다는 데에 대체로 공감했다”며 “다만 대입 제도를 손보고 전환할 때는 국민적 숙의와 합의 과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교육위원회와 함께 교육부가 중심이 돼 다음 대입 개편 때까지 준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최 장관은 상대평가인 기존의 내신·수능 평가 방식으로는 과열된 입시 경쟁을 완화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이같은 방침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최 장관은 “작년 통계를 보면 재학생만 221명, 학교 밖 청소년까지 포함하면 370명이 넘는 아이들이 다양한 이유로 죽어가고 있다”며 “경쟁에 지친 것도 있을 테고 친구들이나 가족 등 다양한 사회관계 속에서의 소외 같은 다양한 이유가 청소년 사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이어 “여러 부처가 힘을 모아야 하겠지만 교육부가 가장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가장 우선적인 정책으로 추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경쟁교육은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