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유가족 "갑자기 심리지원 안내 문자·일방적 전화…유감"

사회

뉴스1,

2025년 9월 18일, 오후 04:57

지난 7월 12일 오후 이태원 참사 기억소통공간인 서울 종로구 별들의집에서 유가족을 비롯한 참가자들이 이태원 참사 발생 1000일을 추모하는 목걸이를 만들고 있다. 2025.7.12/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18일 보건복지부 이태원 사고 통합심리지원단에 행정편의주의적 심리지원 관련 안내 문자 및 전화 접촉에 유감을 표하는 항의 서한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협의회에 따르면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지난주부터 지원단으로부터 '이태원 사고 심리지원 안내'라는 내용의 문자를 받았다. 유가족이 '사고'라는 표현에 항의하자 16일부턴 진상규명법에 따라 이태원 참사로 명칭을 변경해 재안내한다며 또 다시 문자를 보냈다고 한다.

이 문자엔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이 전문가 상담을 위해 연락할 수 있는 통합심리지원단 담당자 및 국가트라우마센터,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연락처와 마음건강검사 링크가 담겼던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는 이 문자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17일 지원단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고 유가족들이 당혹스러운 경험을 했다는 점이라고 협의회는 전했다.

협의회는 "갑자기 걸려온 낯선 사람의 전화에 '잘 지내고 있냐', '불편한 곳은 없냐'는 일방적 질문을 받아야 했다"며 "업무 중이라 전화를 못받은 경우에는 다른 가족에게 연락해 '연락이 안 되는 다른 가족은 무슨 일 있냐' 대뜸 묻거나 '희생자의 형제자매들에게도 연락이 갈거다'라고 하는 등 당사자 동의와는 상관없는 연락으로 불쾌한 감정을 느끼게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가족 심리 상담 관련 안내를 위한 것이었다고 해도 갑작스러운 전화가 적절한 방식이었는지에 대해 의문"이라며 "정부가 앞에서는 피해자 지원을 말하면서도 실상은 유가족들이 느끼는 상처와 트라우마를 가벼이 여기는 것이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또한 "트라우마 심리 상담 및 치료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당사자가 동의를 했는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지"라며 "이번 일을 통해 한국 정부의 심리지원 서비스가 행정편의적 접근법을 벗어나, 재난참사 피해자의 필요와 상황을 충분히 고려한 당사자 중심 지원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pej86@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