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검찰이 18일 인권침해점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 등이 연관된 '검찰 술자리 회유 의혹' 진상조사를 진행한다. TF는 서울고검에서 꾸린다.
대검은 이날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 차장검사)은 이날 검찰 업무 관행을 점검하고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정용환 서울고등검찰청 감찰부장을 팀장으로 하는 '인권침해 점검TF'를 구성·운영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고검은 대검으로부터 지시를 받아 정 부장을 팀장으로 하고 검사 3명을 팀원으로 하는 TF를 구성했다.
대검은 "정성호 법무부 장관이 지시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증언 관련 진상 확인 조사 및 결과 보고' 사안도 인권침해 점검 TF에서 신속히 진상을 확인해 결과를 보고하도록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서울고검 또한 "정 장관이 지시한 관련 사항을 신속하게 조사해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 장관은 이 전 부지사 '검찰 술자리 회유 의혹' 해소를 위해 교정본부에 별도 점검반을 구성해 실태조사를 진행했고, 수원지검의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 수사 과정에서 조사실로 술과 외부 음식을 반입하거나 불법 접견을 허용한 정황을 포착해 대검에 감찰을 지시했다.
실태조사 결과 지난 2023년 5월 17일 수원지검 1313호 검사실 내 영상녹화실에서 이 전 부지사, 김 전 회장과 방용철 전 쌍방울그룹 부회장 등이 박상용 부부장 검사 등과 외부 반입 음식으로 저녁 식사를 했고, 이때 김 전 회장 등이 종이컵에 소주를 마신 정황이 확인됐다.
또 이 전 부지사의 주장대로 김 전 회장의 수용 기간 중 검찰 조사 시 김 전 회장이 원하는 외부 도시락과 음식이 여러 차례 반입됐으며, 영상녹화실 및 '창고'란 공간에서 수시로 김 전 회장과 이 전 부지사 등이 모여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쌍방울 직원이 수원지검 1313호 검사실에 상주하면서 김 전 회장을 수발했고, 현직 교도관이 박 검사의 부적절한 조치에 대해 항의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이 전 부지사 및 당시 계호 교도관들의 진술 등에 비춰 사실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이들 공범에 대한 휴일 검찰 조사에서 점심 및 저녁 식사로 제공된 외부 도시락 구입 비용을 쌍방울에서 계산했을 가능성, 과도한 소환과 공범 간 부적절한 접촉 허용 등 조사 과정에서 관련 규정을 위반했을 가능성, 수원지검 조사 발표 내용이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 정황 등도 인지했다.
반면 이 전 부지사 사건의 수사·기소를 맡았던 서현욱 부산고검 창원지부 검사는 이날 오전 입장문을 통해 "지난해 4월 이화영이 음주 일시로 지목한 2023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을 전수조사했고 당시 조사 내용을 컴퓨터에 일괄 저장해 제가 떠나기 전까지 해당 파일을 건드리지도 않았다"며 "이를 확인해 보면 은폐 운운하는 주장이 터무니없음을 잘 알 수 있다"고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의혹의 당사자인 박 검사는 "술 파티니 회유 조작이니 하는 주장에 사실무근이라고 일관되게 밝혀왔다"면서 "이후 수원지검의 교도관에 대한 전수 조사, 경찰의 수개월에 걸친 수사, 이 주장에 대한 재판도 있었고 사실무근이라는 취지의 대법원 확정판결까지 있었다"고 반박했다.
ddakbo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