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서 전세기 탑승하는 구금 한국인들 (사진=AFP 연합뉴스)
A씨는 물건을 구매해 물류센터로 보내면 보수를 주겠다고 속이고 물품 대금, 출금 수수료 등의 명목으로 돈을 가로채는 사기 수법에 속았다. 이는 캄보디아와 태국 등을 오가며 로맨스스캠, 보이스피싱, 노쇼 사기 등을 벌인 범죄조직의 소행이었다.
일부 조직원이 지난해 10월경 태국에서 검거돼 국내로 송환됐지만 여전히 피해자들은 피해 회복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서울남부지법에선 이 조직의 팀장 B씨의 재판에 진행되고 있는데, 그는 범죄단체가입·활동,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등 혐의로 구속 기소돼 지난 1일 징역 40년을 구형받았다. 해당 사건의 파해액은 155억 5111만 원이며, 배상명령을 신청한 피해자만 356명이다.
그 중 약 5000만 원의 피해를 본 35세 C씨는 “B씨의 결심공판에 피해자 30명이 왔는데 판사가 검사에게 ‘사람들이 가져갈 돈이 있겠냐’고 물으니 ‘재산이 없어서 사실상 불가능하다’더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C씨에 따르면 재판에 참석 피해자들은 판사로부터 발언권을 받은 뒤 “팀장 역할을 했는데 돈이 없다는 게 말이 안 된다. 돈 없으니 못 준다고 하면 끝이냐”라며 울분을 나타냈다.
이날 송환된 캄보디아 구금 한국인들 상당수도 범죄 조직원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범죄수익 상당수가 ‘윗선’인 중국계 조직으로 흘러 들어가는 만큼, 금전 피해를 복구하는 것은 어렵지 않겠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미국과 영국이 범죄단지를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프린스 그룹’에 대해 제재를 적용한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도 피해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앞서 지난 14일 미국 재무부는 프린스 그룹을 ‘초국가적 범죄 조직’으로 규정하고 천즈 회장을 비롯 이 그룹과 관련한 제재 146건을 시행했다. 이에 미 검찰은 천즈를 온라인 금융 사기와 자금 세탁 등의 혐의로 기소하고 법무부는 추적을 통해 범죄 수익으로 추정되는 비트코인 12만 7271개를 압류했다. 이는 약 142억 달러(약 20조 2236억 원)에 달한다.
영국 정부도 프린스 그룹과 그 자회사들을 제재 대상에 올리는 등 압박을 가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은 제재는 미국과 보조를 맞춘 것으로, 영국 외무·영연방개발부(FCDO)와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광범위한 조사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캄보디아 온라인 사기에 가담해 구금된 한국인들이 1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송환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들은 전세기에 오르자마자 기내에서 체포됐고 64명 모두 전세기에서 내리자마자 피의자 신분으로 관할 경찰관서로 압송돼 범죄 혐의점을 수사받는다. 이들은 ▲충남경찰청 45명 ▲경기북부청 15명 ▲대전경찰청 1명 ▲서울 서대문경찰서 1명 ▲경기남부청 김포경찰서 1명 ▲강원 원주경찰서 1명 등으로 분산된다.
송환자들은 ‘웬치’라 불리는 캄보디아 범죄단지에서 보이스피싱이나 로맨스 스캠(사기) 등 범죄에 가담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 가운데 59명은 캄보디아 당국의 사기 단지 검거 작전 때 붙잡혔고, 나머지 5명은 스스로 신고해 범죄 단지에서 구출됐다. 이 중에는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 적색수배자도 포함됐다.
한국 범죄자들을 해외에서 전세기로 집단 송환한 사례는 이번이 세 번째로, 단일 국가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의 송환 작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