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 전경. (사진=이데일리DB)
‘디지털 전환지원’ 사업에 참여한 업체는 참여하지 않은 업체보다 연 매출 증가율 11.1%포인트, 신용등급 개선 효과는 11.7%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출 증가 상위 10% 업체’는 1년 후 연매출액이 사업 참여 전보다 평균 56.9%, 일부 업체는 최대 352.3%까지 매출이 대폭 늘었다.
비참여 업체 대비 연매출액 개선 효과는 도소매업이 22.7%포인트로 가장 높았으며 숙박음식업(11.3%포인트)·서비스업(6.3%포인트)·제조업(0.8%포인트) 순으로 뒤를 이었다.
시는 내년에는 더 많은 중장년 소상공인을 위해 지원 규모를 20%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디지털 전환지원’을 비롯해 매년 ‘소상공인 종합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소상공인 생애주기별(창업~성장·성숙~재도전) 맞춤형 정책을 추진 중이다. △창업컨설팅 △위기 소상공인 선제 지원 △폐업 전 단계 지원 등 경영진단부터 컨설팅·교육·솔루션까지 통합 제공해 소상공인의 자생력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지원’은 디지털 기기와 온라인 활용이 익숙하지 않은 40~64세 소상공인 대상 디지털 역량 진단부터 교육, 컨설팅, 솔루션 지원, 사후관리까지 2년에 걸쳐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해선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신용보증과 디지털 전환지원이 동시에 이뤄졌을 때, 소상공인 매출 증대와 신용도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있는 성과”라며 “디지털 전환지원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이 경쟁력으로 무장, ‘골목상권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내실 있는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