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이전에 거리 내몰린 靑 노동자들…"고용 보장 촉구"

사회

이데일리,

2025년 11월 17일, 오후 07:19

[이데일리 염정인 기자] 대통령 집무실 청와대 복귀가 현실화하면서 지난 3년 7개월간 개방된 청와대에서 관광객을 맞이하고 시설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했던 40여명의 용역노동자들이 해고될 위기에 놓였다. 이들은 이재명 정부에 고용 보장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공공서비스지부 조합원들이 17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열린 청와대 용역노동자 고용보장 촉구 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공공서비스지부 조합원들은 17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 이전으로 용역노동자들이 일방적으로 해고될 위기에 처했다”며 “대통령실은 12월 청와대재단과 용역업체 간의 계약이 종료됨에 따라 노동자들과의 계약도 만료된다고만 하고 별다른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이들에 대한 고용안정 대책을 대통령이 나서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지난 8월 민간 개방을 종료했다. 대통령실이 청와대 복귀를 발표하면서다. 이에 따라 미화, 보안, 조경 등을 담당했던 용역노동자들은 8월부터 휴업 명령 지시를 받고 현재 재택 대기 중인 상태다.

윤석열 정부 당시 청와대를 개방하면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산하의 청와대재단을 만들었고, 재단은 1년 마다 용역업체를 선정해 하청을 주는 식으로 운영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올해 약 200여명의 노동자가 용역업체를 통해 청와대에서 근무했는데 이들 중 현재 41명의 용역노동자들이 고용보장을 희망하고 있다.

손승환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 조직국장은 “청와대 개방 시기 이들은 운영에 필수적인 상시 업무를 도맡았지만 용역업체를 통해 고용된 탓에 1년마다 불안에 떨었다”며 “청와대 이전 자체를 문제 삼는 게 아니라 3년간 청와대를 지켰던 용역노동자들을 정권이 바뀌었다는 이유로 해고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손 조직부장은 “7월 16일 대통령실에 면담을 요청했지만 1개월 넘게 응답이 없었다”며 “지난 9월 노동비서관실과 면담을 했지만 현재까지 마땅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청와대 민간 개방 이후 줄곧 청와대를 지켰었다는 방호직 노동자 이우석씨는 “이전 결정이 공식화되면서 정식 절차와 대안도 없이 나가란 말을 듣게 됐다”며 “적절한 행정 절차도 없이 거리에 내몰렸다”고 토로했다. 안내직 노동자 정산호씨도 “(청와대) 복귀 논의 과정에서 상시적인 업무를 수행했던 노동자들을 배제한 점이 실망스러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이 내세운 고용보장 방안은 △개방 관람을 축소해 운영할 경우 기존 용역노동자를 우선 고용하는 안 △청와대에서 근무가 어렵다면 문화체육관광부·국가유산청 등에 공무직 형태로 고용보장하는 안 등이다.

한편 대통령실은 다음달 중순을 목표로 집무실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집무실과 춘추관 등 대부분의 시설은 연내에 이동을 완료하고 관저는 내년 상반기 이전한다는 계획이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