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현재까지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가 각각 614억원, 51억원치를 순매수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는 509억원치를 순매도하며 매수 우위를 이어나가고 있다. 프로그램별로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212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16% 오른 4만 5636.90에 마감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32% 오른 6501.86에 마감하며 2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S&P500 지수가 6500선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53% 오른 2만 1705.16에 거래를 마쳤다.
엔비디아 실적을 통해 인공지능(AI) 열풍을 재확인한 투자자들의 투심을 자극한 결과라는 게 증권가 분석이다. 엔비디아의 2분기 매출액은 467억 4000만 달러(한화 약 65조원), 주당 순이익 1.05달러로 시장 예상치를 웃돌긴 했으나 실질적인 시장 예상치를 충족하진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국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주가가 시간외 거래에서 3% 이상 약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이후에는 긍정적인 재평가가 나오면서 이날 정규장에선 0.79% 하락에 그친 180.17달러에 마감했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 전망에 대해 “엔비디아 실적 발표 이후 미국 증시에서의 기술주 반등을 반영하며 AI 관련주를 중심으로 상승 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을 담은 3차 상법개정안을 9월 정기국회에서 통과시킬 것이라고 언급했다”며 “증권·지주 업종은 자사주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최근 세제개편안 등 정책 불확실성 여파로 하락했던 낙폭을 단기적으로 회복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다봤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선 대형주가 0.31%, 중형주는 0.64%, 소형주는 0.23% 모두 상승세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기기가 0.90%, 운송·창고가 0.83% 등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전기·가스는 0.61%, 음식료·담배 0.30% 하락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 삼성전자(005930)는 전 거래일보다 500원(0.72%) 오른 7만 100원에 거래되고 있고, 같은 기간 SK하이닉스(000660)는 1000원(0.37%) 떨어진 26만 7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과 현대차(005380)는 각각 0.96%, 0.45% 오르고 있다. 다만 한화오션(042660)과 HD현대중공업(329180)은 각각 0.27%, 0.40% 떨어지고 있다.
한편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53포인트(0.44%) 오른 801.96에서 출발해 같은 시간 5.48포인트(0.69%) 오른 803.91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선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가 각각 19억원, 5억원 순매도하고 있고 외국인 투자자가 130억원치를 순매수하고 있다. 프로그램별로는 차익과 비차익을 합쳐 34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