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광일(왼쪽) 홈플러스 대표이사가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이의환 홈플러스 전대채 피해자 대책위원장,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사진=연합뉴스)
왼쪽부터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이의환 홈플러스 전대채 피해자 대책위원장,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사진=연합뉴스)
보고서는 4대 정책과제로 △‘이리떼 전략’ 차단을 위한 대량보유보고제도 재검토 △사모펀드의 금융당국 수시보고 의무화 △기업 인수 후 구조조정·고용 축소 재발 방지 △전부 공개매수 제도 신중 검토를 제시했다.
또한 최근 홈플러스 사태를 상기시키는 론스타의 극동건설 인수 사례를 대표적 피해 유형으로 지적했다. 론스타는 1700억 원을 투자해 극동건설을 인수한 뒤, 채권 변제·유상감자·고배당·자산 매각 등을 통해 불과 4년 만에 7120억원을 회수했다. 이는 △그린메일링 △초토화 경영 △LBO △해체형 매수 등 약탈적 매수의 전형적 수법 가운데 하나로 분석됐다.
연구를 맡은 권용수 교수는 “사모펀드의 약탈적 인수는 단순히 경영권 문제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기업의 혁신 역량과 시장 신뢰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낳는다”며 “상법 개정의 취지와 기업지배권 시장 위축 방지 등을 생각하면 이사의 의무에 기초한 약탈적 인수 방어를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이 어렵다면 영국의 ‘매수 후 약속’ 제도처럼 투자자의 약속을 법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해 우리 기업과 주주 가치 제고를 실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정책1본부장은 “최근 상법 개정을 통해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가 강화되었지만,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제도적 장치가 아직 부족하다”며 “이번 보고서에서 제시된 과제들이 입법으로 구체화된다면, 기업과 주주가 모두 신뢰할 수 있는 자본시장 질서가 확립되고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