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상품은 장기투자 기반의 노후자산 형성을 목표로 하며, 주식 비중 최대 80% 수준의 고성장형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투자 초기에 적극적인 자산 증식을 추구한다.
KCGI프리덤 TDF2055·2060 상품은 각각 2055년, 2060년을 은퇴 목표시점으로 하며, 현재 20대와 30대 젊은 세대에게 적합한 장기형 투자상품이다.
KCGI운용은 국내 투자자들의 생애주기 특성과 투자성향을 반영해 자체적으로 개발한 ‘KCGI 글라이드패스(Glide Path)’를 적용했다. 펀드 설정 초기에는 주식형 모펀드 비중을 약 77~78% 수준으로 구성하고, 은퇴 시점이 다가올수록 단계적으로 주식형비중을 33%까지 낮추고 채권형 비중을 67%까지 확대 하는 구조다.
특히 1년 단위로 자산배분 비중을 조정하는 구조를 갖추어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면서도 장기 복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KCGI TDF 시리즈는 국내 주식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아시아, 이머징마켓 등 글로벌 주요 지역 주식과 채권, 리츠(부동산)에 자산배분을 통해 변동 위험을 완화한다.
KCGI성장기반모(주식), 글로벌고배당모(주식), 코리아모(주식), 이머징마켓모(주식), 글로벌리츠 등 9개 전략 펀드로 KCGI글로벌운용역량을 총집결하여 자산배분을 최적화하고 수익성과 안정성을 추구한다.
KCGI운용의 기존 프리덤 TDF 시리즈는 설정 이후 5년간의 누적 수익률이 업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10월 출시된 ‘KCGI프리덤 TDF2030·2035’ 시리즈는 연평균 6~7%대의 안정적 성과를 기록하며 장기 투자 관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KCGI TDF의 빈티지 평균 5년수익률 65.2%(연복리 10.5%)로 TDF를 운용중인 19개 운용사 중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5년 연평균 표준편차는 8.7%로 변동성도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KCGI자산운용 관계자는 “2055·2060 TDF는 단순히 주식 비중이 높은 고위험 펀드가 아니라, 생애주기에 맞춰 위험을 체계적으로 줄여가는 구조로 설계됐다”며 “고객의 노후자산을 장기적으로 성장시키는 ‘책임 있는 생애형 투자 솔루션’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KCGI프리덤TDF2055와 2060 의 투자위험등급은 각각 3등급(다소높은 위험), 총보수는 연금저축(C-Pe)클래스 기준으로 2055가 0.622%, 2060이 0.652%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