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일PwC)
오프닝 발표에 나선 문정재 삼일PwC 파트너는 국내 석유화학 산업이 중국 수요 둔화, 중동 정유·석유화학 통합 설비(COTC) 확장, 원가 경쟁력 약화 등으로 구조적 위기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문 파트너는 “업계는 단순한 감산 및 원가절감만으로는 생존이 어려워, 고부가 소재 중심의 근본적 사업 전환과 정부·금융권의 정책 지원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위기는 일시적 사이클이 아니라 산업 구조 자체가 바뀌는 전환점”이라며 “일본처럼 선제적 구조조정과 혁신 투자가 없으면 글로벌 경쟁력 회복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인공지능(AI)·친환경 기술 기반의 생산성 혁신과 선택적 구조조정이 핵심 대안으로 제시됐다.
본 강연에서 김해련 태경그룹 회장은 “굴뚝산업부터 정보통신기술(ICT), 바이오, AI까지 모든 산업 발전의 근간은 기초 소재”라며 “1975년 창립 이후 50년간 국가 기간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 고도화를 위해 시장 단계별로 과감하고 유연한 전략 변화를 추진해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 회장은 홍지윤 삼일PwC 파트너와의 대담에서 “기업 경영에서도 원칙은 강조돼야 하고, 경영자는 날로 새로워져야 하며(日新又日新), 경쟁 시장에서 적을 알고 나를 안다(知彼知己)는 격언을 늘 깨어 실천해야 한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