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가 19일 오전 서울 강남구 하나증권 압구정 금융센터 앞에서 ‘홈플러스 유동화전단채 피해 유동성지원 선·가지급금 요구’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비대위 측)
일부 증권사들은 앞서 신영증권이 홈플러스 물품 구매 카드사에게 인수한 카드매입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전단채를 발행했다. 발행 규모는 4019억원에 달하며 증권사를 통해 개인에게 판매된 규모도 30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지난 3월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를 개시하면서 카드대금을 갚지 못하게 되자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면서 손실을 입었다.
하나증권은 개인 346명과 법인 63곳을 포함해 2199억원을 판매했고 그중에서도 압구정 금융센터가 가장 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지점이라는 게 비대위 설명이다. 비대위는 유동성 지원방안으로 △불완전판매를 전제로 한 선지급 방식의 긴급 지원 △무이자 대출 또는 가지급금 형태의 긴급 자금 지원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비대위는 이날 집회에서 “채권을 구매한 사람이 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 가압류 집행권, 취소권, 추심권 등 각종 권리가 보장됐어야 하는데 하나증권은 그런 권리 자체가 없는 채권을 마치 3개월 후에는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을 것처럼 거짓말로 판매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홈플러스 파산과 별개로 하나증권, 하나금융그룹은 피해자 구제 원칙에 따라 성실하게 책임을 다해야 마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그간 홈플러스와 MBK를 상대로 손실 보전을 요구해왔으나, 수사가 길어지는 등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증권사를 상대로 선지급을 요구하기에 나섰다. 이에 비대위는 지난 9월부터 여의도 하나증권 본사 앞에서 수요집회를 지속하고 있으며 금융감독원과 신영증권도 찾아 대책 마련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날부터는 증권사 지점을 상대로도 불완전판매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