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정KPMG)
딜마인드의 핵심 기능은 고객 M&A 니즈의 실시간 데이터화다. 담당자별로 분산돼 있던 수요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축적하고 특정 산업에서 매각 멘데이트(Mandate)가 발생하면 과거 니즈를 즉시 확인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재무자문부문 전체가 공유해 잠재 후보군을 보다 정확하게 발굴하는 데 활용된다.
‘Target Long List’ 자동 생성 기능도 강화됐다. 이메일이나 개별 파일에 흩어져 있던 타겟 정보를 AI가 일괄 정리해 산업·규모·조건별 데이터베이스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검색 기능을 통해 원하는 기업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상세 페이지에서는 기업 외형, 사업 특성, 투자 포인트와 함께 딜마인드가 생성한 ‘AI Comment’도 확인할 수 있다.
플랫폼에는 AI Chat 기능도 포함됐다. 자연어 기반 질의응답, 문서 분석, 자료 비교, 시장 정보 탐색 등 M&A 실무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며 파일 업로드·웹 검색·DB 검색 기능을 통해 더욱 정교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I가 답변 생성 과정을 시각화해 제시하는 ‘Reasoning Process’ 기능도 탑재해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딜마인드는 단순 데이터 저장을 넘어 기업의 의사결정 체계를 고도화하는 전략적 플랫폼으로 기능한다. AI가 산업·거래 규모·투자 성향에 맞는 후보군을 자동 제시해 자문 과정의 속도를 높인다. 이를 통해 기업은 더 많은 거래 대안을 신속히 검토할 수 있으며 자문사는 축적된 데이터와 AI 분석을 기반으로 보다 정밀한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조직 내 경험적 지식이 데이터 자산으로 전환되면서 M&A 검토의 일관성과 객관성 역시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정KPMG는 지난 9월 딜마인드 내부 출시 이후 재무자문 실무에서 이미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이어 AI 기반 M&A 업무 혁신 로드맵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산업별 투자 포인트 자동 분석, 거래 유사도 추천, 주요 재무정보 자동 추출 등 고객의 의사결정에 직결되는 기능을 순차적으로 적용해 플랫폼의 완성도를 높여 나갈 예정이다.
삼정KPMG 재무자문부문 김이동 대표는 “딜마인드는 조직이 축적한 전문성과 최신 AI 기술을 결합해 M&A 시장의 정보 비대칭을 해소하고, 기업 고객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략을 수립·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