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이쥔 샤오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샤오미의 새로운 전기차 ‘SU7 울트라’를 공개하고 있다.(사진=로이터)
이번 조치는 지난 3월 샤오미의 인기 세단인 SU7 모델이 치명적인 사고를 일으킨 뒤 나왔다. 이 사고는 차량 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크게 불러일으켰다. 중국 당국의 예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샤오미 차량은 운전자가 첨단주행 보조시스템(ADAS)에서 수동 조작으로 전환한 직후 시속 97km의 속도로 도로변 시멘트 기둥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했다.
새 지침에 따라 차량 제조사들은 당국의 승인 없이 이미 고객에게 인도된 차량에 대해 ADAS 기능을 원격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테스트하거나 개선할 수 없다. 모든 기능은 충분한 신뢰성 검증 테스트를 거쳐 정부의 사전 승인을 받은 후에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중국 내 아우디를 포함한 최소 7개 브랜드에 ADAS를 공급하는 화웨이도 적용된다.
이번 규제 조치는 치열한 가격 경쟁 속에서 자동차 업체들이 ADAS를 탑재한 신차를 잇따라 출시한 가운데 나왔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은 3년째 과열 경쟁이 벌어지며 차량 제조사들은 너도나도 ‘스마트 주행’ 기능을 핵심 판매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BYD는 지난 2월에 ‘스마트 주행’ 기능이 탑재된 1만달러 미만 저가 차량 21종을 출시하며 이같은 경쟁에 불을 붙였다. 중국 스타트업 립모터와 일본 브랜드 토요타 등도 비슷한 기능을 갖춘 저렴한 차량을 출시하며 BYD의 뒤를 따랐다.
중국 규제 당국은 전기차 산업이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기술 감독을 강화하는 추세다. 지난해 말 기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이 전체 자동차 판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 정책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 규제 당국은 또한 전기차 배터리의 화재와 폭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배터리 안전 기준에 대한 규제도 강화하고 있다.
로이터는 “업계 소식통은 더 엄격한 규제 규정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고 기술 개발 및 채택 속도가 느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며 “다만 과잉 생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자동차 산업의 오랜 숙원인 통합을 앞당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