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1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중국의 관료들과 관세 관련 회담을 위해 호텔을 떠나고 있다. (사진=AFP)
로이터통신은 11일(현지시간) 익명의 두 소식통을 인용해 스위스 제네바에서 미국과 중국의 고위 당국자들이 주말 회담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앞서 허리펑 중국 부총리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제이미스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USTR) 대표는 전날 10시간 넘게 회담을 했다. 이는 세계 양대 경제 대국이 서로의 상품에 100%를 훨씬 넘는 관세를 부과한 이후 처음으로 이루어진 대면 회담이었다.
양측 대표단은 회담 이후 논의 내용에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호적이지만 건설적인 형태로, 완전한 (미중 무역관계의) 리셋(재설정) 협상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중국과 미국의 이익을 위해 미국 업계에 중국이 (시장을) 개방하는 것을 보고 싶다”며 “큰 진전이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인 성과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지만, 중국 시장 개방을 거론한 점으로 미뤄 관련 논의가 오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중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중국 시장 개방을 핵심 요구로 삼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중국 측의 공식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다만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이번 협상이 글로벌 산업·공급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긍정적으로 보도했다. 다만 신화통신은 동시에 미국이 관세 철회와 같은 ‘잘못된 관행’을 먼저 시정하지 않으면 합의는 어려울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신화통신은 “중국은 협상이 상호 존중과 평등, 상호 이익을 전제로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며 “미국이 진정 협상을 원한다면 일방적인 관세 조치의 부정적 영향을 직시하고, 진정성을 보이며 잘못된 관행을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미국이 먼저 부과한 관세를 철회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양측의 기 싸움이 이어지며 회담에서 빠르고 의미있는 돌파구가 나올 가능성은 낮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인 민주주의수호재단의 중국 담당 선임연구원 크레이그 싱글턴은 “이번 회담은 말 그대로 ‘회담을 위한 회담’이며, 중국은 현재 어떤 안이 테이블 위에 올라와 있는지 평가하거나, 혹은 단지 시간을 벌기 위해 나선 것일 수도 있다”며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공동의 로드맵이나 명확한 경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