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지난해 4월 미국 연방의회는 중국이 틱톡을 통해 미국인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여론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초당파적인 공감대 속에 이른바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틱톡은 미국 사업을 올해 1월 19일까지 매각해야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달 20일 취임 직후 행정명령으로 매각 시한을 75일간 연장했다. 이후 지난 4월, 이달 이렇게 총 3차례 매각 시한을 연장해 현재 틱톡의 매각 시한을 9월 17일이다.
올초까지 틱톡의 미국 사업을 미국 법인으로 분리하고 미국 투자자들이 과반 지분을 보유·운영하는 방안이 거론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 부과를 발표한 이후 중국 당국이 해당 거래를 승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시사하면서 이 계획은 중단됐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한 만료에 대해 연장할 필요가 없다며 만료에 앞서 상대국에 관세율을 통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협상은 계속 진행되지만 200개국이 넘기 때문에 모든 국가와 대화할 수 없다”며 “그들에게 편지를 보내는 게 나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일본을 예로 들면서 “만날 필요가 없이 상황은 이렇다고 서한을 보낼 수 있다. 우리는 모든 숫자(관세율)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한을 통해)‘축하한다. 미국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25%, 35%, 50% 또는 10%의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라며 “차라리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