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강탈' 이 정도였어?…'챗GPT 침투' 충격 결과

해외

이데일리,

2025년 6월 30일, 오후 09:04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출시 이후 영국에서 신입사원 일자리 약 3분의 1이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챗GPT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30일(현지시간) 구인·구직 사이트 애드주나의 자료를 인용해 챗GPT가 출시된 2022년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구인 등록된 대졸자, 견습직, 인턴 등 ‘초급’ 일자리 수가 31.9%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초급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약 29%에서 25%로 줄었다. 부문별로는 소매 부문이 78.2%로 감소 폭이 가장 컸고 물류, 창고, 관리 부문이 뒤를 이었다. 정보기술(IT), 회계·금융 초급 일자리 수도 절반 이상 줄었다.

특히 올해 5월 초급 일자리 수는 전년동기대비 4.2% 감소했는데, 이는 전체 일자리 수가 0.5% 늘어난 것과는 엇갈리는 추세다. AI가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작업을 하는 초급 일자리들을 대체한 결과로 풀이된다.

초급 일자리이 구인이 줄어들다 보니 구인 등록된 일자리의 평균 연봉은 4만2403파운드(약 7865만원)로 전년동월대비 9.4% 상승했다.

애드주나 측은 “전반적인 경제 여건의 어려움에 더해 AI가 초급 일자리 축소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며 “고용주의 국민보험료 부담 증가, 새 고용법안 등 고용주가 사람을 쓰지 못하는 이유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AI 활용해 인력을 줄일 방침을 공개적으로 밝힌 기업도 늘고 있다. 앞서 통신업체 BT는 2030년까지 통화 처리, 네트워크 진단 등 일자리 1만 개를 AI로 대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앨리슨 커크비 BT 최고경영자(CEO)는 “AI 기술을 보면 계획보다 훨씬 더 많이 감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챗봇 ‘클로드’를 개발한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향후 5년간 AI가 모든 신입 사무직 일자리 절반을 없애 실업률이 10∼20%로 올라갈 수 있다”고 봤다.

글로벌 빅테크를 중심으로 감원 칼바람이 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