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라 넘었다" 더 얇고 똑똑해진 '갤럭시 폴더블'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0일, 오전 06:41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접는 순간, 울트라가 깨어났다.”

삼성전자가 폴더블폰 Z 시리즈를 통해 또 한 번 기술 진화를 선언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이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에서 초슬림 대화면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을 공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에서 공개된 ‘갤럭시 Z 폴드7’과 ‘Z 플립7’은 단순한 성능 개선을 넘어 하드웨어와 인공지능(AI)의 유기적 융합을 본격화한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삼성은 이번 신제품을 통해 ‘AI 폴더블폰 대중화’ 시대의 본격적인 서막을 열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Z 폴드7’은 폴더블폰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울트라’의 성능을 그대로 담았다. 역대 Z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8.9㎜, 215g 초슬림 바디에 2억 화소 광각 카메라, 8.0형 대화면을 탑재해 플래그십의 핵심 사양을 집약했다. 화면을 펼치는 순간 제공되는 대형 디스플레이는 단순한 시각 영역을 넘어 몰입과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된 생산성 무대로 진화했다.

AI 기능도 대폭 강화됐다. 삼성의 ‘갤럭시 AI’와 구글의 ‘제미나이’가 결합한 멀티모달 AI는 Z 폴드7을 단순한 스마트폰을 넘어 ‘AI 비서’형 디바이스로 확장시켰다. 게임 중 궁금한 장면은 S펜이나 손가락으로 표시만 하면 ‘서클 투 서치’가 관련 정보를 바로 검색해주며, 사진 편집도 불필요한 인물을 AI가 자동 인식해 제거해준다. ‘오디오 지우개’ 기능을 통해 영상 속 소음도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다. 복잡한 앱 없이도 스마트폰 하나로 콘텐츠 제작과 편집이 가능한 수준이다.

(그래픽=김정훈 기자)
함께 공개된 ‘갤럭시 Z 플립7’은 콤팩트한 폼팩터에 인공지능 기능을 심은 스마트폰으로 주목받았다. 커버 디스플레이 ‘플렉스윈도우’는 4.1형으로 확대됐으며, 기기를 열지 않아도 셀피 촬영, 메시지 확인, 음악 제어, 음성 명령이 가능하다. “제미나이, 오늘 밤 항공편 보여줘”처럼 음성으로 요청하면, 제미나이 라이브가 실시간 정보 제공에 나선다.

사용자의 관심사와 일정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콘텐츠를 띄우는 ‘나우 바’와 ‘나우 브리프’ 기능이 더해져, 사용자의 일상 흐름에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AI 경험을 제공한다. 화면을 열지 않아도 이미 ‘움직이는 폰’이라는 것이 삼성의 설명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은 “갤럭시 Z 폴드7은 하드웨어와 AI의 융합을 통해 삼성전자가 선보인 가장 진보된 스마트폰 경험을 구현한 제품”이라며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의 조화를 바탕으로 직관적인 ‘울트라 경험’을 손안에 담을 수 있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