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총리, 트럼프 35% 관세에 "8월 1일까지 협상 계속"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1일, 오후 05:23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35% 관세 부과 예고와 관련, 열흘 가량 늘어난 마감 시한까지 관세를 낮추기 위해 최선을 다해 협상에 임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미국의 51번째 주(州) 편입 논란으로 강경하게 대응했던 과거와 달리, 보복 조치나 35% 관세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사진=AFP)


1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이날 늦은 밤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 정부는 현재 진행 중인 미국과의 무협상에서 우리 근로자과 기업들을 확고하게 보호해 왔다. 우리는 수정된 데드라인인 8월 1일까지 그들에게 최상의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캐나다는 북미에서 펜타닐이라는 재앙을 막기 위해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 우리는 양국의 생명을 구하고 지역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미국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며 미국과 협력해 펜타닐 단속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서한 공개와 함께 예고한 관세 인상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25% 관세를 부과했으나,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했다. 또 원유·에너지·비료 등 일부 품목은 10%의 낮은 관세가 적용됐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예고한대로라면 관세가 기존보다 10% 높아지게 된다. CNN방송은 새로운 관세가 모든 캐나다 상품에 적용되는지, 현재 미국이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상품에만 적용되는지 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짚었다. 로이터통신 등 다른 외신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과 캐나다의 무역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디지털서비스세(DST)를 문제삼으면서 한 차례 중단된 바 있다. 카니 총리는 지난달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디지털세 철회를 약속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양국 간 새로운 무역협정을 오는 21일까지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지난달 30일 디지털세 철회와 함께 양국은 무역협상을 재개했다.

이 과정에서 캐나다는 양국 간 모든 관세 철폐만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프랑수아-필립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은 캐나다와 미국 간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른 나라들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의 관세 합의를 이끌어낼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보이기도 했다.

디지털세를 철회한 만큼 ‘관세 면제’ 등 실질적 이익을 얻겠다는 게 캐나다의 전략이었으나 돌연 35% 관세 폭탄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카니 총리가 언급한 것처럼 협상 시한만 오는 21일에서 8월 1일로 열흘 가량 늦춰진 셈이다.

CNN 등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은 약 4070억달러 규모의 캐나다·멕시코산 상품을 USMCA 특혜로 수입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미국에 수입된 캐나다산 상품 가운데 58%가 USMCA 준수 품목이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철강·알루미늄(50%), 자동차(25%), 구리 50% 등에 품목별 관세를 부과했으며, 반도체와 의약품에도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