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中 경제 둔화 우려, 재정 부양책 도화선 될까[e차이나]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3일, 오후 04:43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올해 반환점을 돈 중국 경제가 상반기 성적표를 공개한다. 미국의 관세 압박, 내수 침체에서도 중국은 5%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하반기 경제 불확실성이 걸림돌로 지목된다. 연간 경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커지고 있다.

중국 동부 산둥성 칭다오항에 컨테이너선이 정박해있다. (사진=AFP)


13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오는 14일 6월 수출입과 15일 6월 산업생산·소매판매·고정자산 투자 등 경제지표가 잇달아 발표된다.

시장에서 관심을 두고 있는 지표는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다. 올해 1분기 중국 GDP는 전년동기대비 5.4% 성장하며 예상을 웃돌았다.

로이터통신이 40명의 경제학자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2분기 중국 GDP는 전년동기대비 5.1% 성장할 전망이다. 전분기보다는 증가폭이 둔화하나 중국 정부가 제시한 연간 성장률 목표치(약 5%)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문제는 하반기 경제 성장세 둔화가 가파를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중국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역풍이 커지고 있다며 중국 GDP 성장률이 3분기 4.5%, 4분기 4.0%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국제기구인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을 각각 4.5%, 4.7%로 보고 있다. 상반기 GDP 성장률이 5% 이상을 기록한다고 가정할 때 하반기에는 이보다 성장세가 크게 꺾일 것으로 봤다.

노무라증권의 팅루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하반기에 여러 요인에 의해 주도된 수요 절벽이 있다”면서 미국 관세에 따른 수출 둔화, 소비재 보상판매 부양책 약화, 긴축 조치, 부동산 침체 장기화 등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중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연간 경제 성장률 목표를 약 5%로 설정하고 있다. 작년엔 디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하락) 심화로 5% 성장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으나 막판 부양책 등에 힘입어 5.0% 성장에 성공했다.

올해는 호조를 보이던 수출이 점차 둔화하고 내수가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목표 달성이 쉽지 않다는 진단이 나오는 것이다. 6월 산업생산과 소매판매의 시장 예상치를 봐도 전년동월대비 각각 5.6%, 5.2% 증가해 전월대비 증가폭이 둔화할 전망이다.



중국 정부는 하반기 소비재 보상판매에 1380억위안(약 26조5000억원)을 추가 지원하는 등 내수 진작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최대 0.5%포인트의 지급준비율(RRR)을 인하해 1조위안(약 192조원)의 유동성을 지급하고 정책금리를 인하하는 등 통화 정책도 예고했다.

일부에선 중국 경제에 대한 압박을 상쇄하기 위해선 추가적인 재정 지원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분기 경제 성장률이 연간 목표치인 5%에 달할 것으로 대체로 예상하지만 내수와 고용이 지속 약세”라면서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로 대외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많은 경제학자가 더 강력한 재정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의 금융통화위원회와 비슷한 조직인 중국 인민은행 화폐정책위원회의 황이핑 위원은 지난달 톈진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토론에서 “외부 불확실성이 국내 경제의 침체를 촉발할 경우 적극적인 재정 정책에 매우 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관세에 대응해 1조5000억위안(약 288조원) 규모의 추가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