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관세' 맞은 브라질 "美에 관세 시행 연기 요청 안할 것"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6일, 오전 08:08

15일(현지시간)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와 관련한 산업계 대표들과의 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제라우두 아우키만 브라질 부통령 겸 산업통상부 장관.(사진=AFP)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브라질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부과한 브라질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조치 철회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본격 대응에 나섰다. 오는 8월 1일 관세 발효를 앞두고 관세 유예를 요청하기보다는 일단 기간 내 타결 쪽에 방점을 두는 모습이다.

브라질 현지 매체 G1에 따르면 제라우두 아우키민 브라질 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수도 브라질리아에서 관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업계 대표들과 잇따라 회의를 한 후 “업계 측에서는 기한이 너무 촉박하다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의견을 제시했다. 그러나 정부의 기본 입장은 기한 연장을 요청하는 것이 아닌 7월 31일까지 해결책을 찾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우키민 부통령은 이날 오전에는 산업계, 오후에는 농축산물 수출업체들과 회의를 했다. G1은 브라질 정부가 미국에 관세 시행 연기 요청계획이 없다는 데 보도의 방점을 찍었지만, 로이터통신과 폴랴 지 상파울루는 브라질 정부가 완전히 관세 유예 요청 가능성을 닫지는 않았다고 해석했다.

폴랴 지 상파울루에 따르면, 아우키민 부통령은 이날 브라질 사업연맹(CNI) 등 산업계 대표들을 만난 자리서 “이 문제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해결돼야 한다”며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면 그것을 위해서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매체는 브라질 산업계는 이번 관세갈등이 양국의 경제적 관계 파국으로 치닫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밝혔다. 리카르도 알반 CNI 회장은 “브라질은 감정적 보복 대신 외교적 해법을 택할 것”이라며 “이번 회의의 가장 중요한 성과는 브라질이 섣부른 대응으로 대립구도를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신중한 대응을 주문했다.

앞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미국이 50% 관세 부과를 시행할 경우, 50%의 맞불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이다.

아우키민 부통령은 16일에도 브라질-미국 상공회의소를 포함한 무역단체 및 화학·소프트웨어 산업, 협동조합, 사용자 단체, 노동조합 등과도 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브라질 정부는 미국 상공회의소 등 미국 내 기업들의 압박이 트럼프 행정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우키민 부통령은 “양국 경제가 모두 피해를 볼 수 있는 만큼, 브라질 기업들도 미국 기업들과의 대화 채널 구축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도 “미국의 브라질 수출 규모는 브라질의 대미 수출보다 세 배가 크다”며 “이러한 미국의 일방적 관세 인상은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조치”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