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 등 美정부에 인도·인니 태양광 업체 관세 요청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8일, 오전 06:49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한화큐셀 등 미국 태양광 업체들이 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관련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해달라고 미국 정부에 요청했다.

미 텍사스주의 태양광 패널.(사진=AFP)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태양광 제조 및 무역 연맹’은 이들 국가에 대한 이 같은 반덤핑관세 및 상계관세 탄원서를 상무부에 제출했다. 이들 단체는 해당 국가에 공장을 둔 중국 태양광 관련 업체들이 중국 정부로부터 불공정한 보조금을 받고 과도하게 낮은 가격으로 미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해당 단체는 한국 한화큐셀의 미국 법인인 한화큐셀USA, 퍼스트 솔라, 미션 솔라 에너지 등 7개 업체로 구성돼 있다.

이번 무역 청원으로 미국 상무부는 해당 수입품이 외국 정부의 보조를 받았거나 부당하게 낮은 가격으로 수입되었는지를 조사할 예정이다.

지난해 이들 단체는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셀과 패널에 대해서도 같은 이유로 관세를 요청했다. 이해 올해 미 상무부는 해당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제품에 대해 3521%의 최대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동남아 4개국으로부터 선적이 줄어들면서 인도네시아와 라오스가 그 공백을 메우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미국의 태양광 셀과 모듈 전체 수입에서 인도네시아와 라오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5월 1.9%에 불과했지만 올해 5월 44%로 급증했다. 인도 또한 2022년 중반 이후 미국으로의 태양광 수출이 급증했다.

로스 캐피털 파트너스의 필립 션 애널리스트는 “중국 제조업체들이 최근 관세가 부과된 동남아 4개국 외의 국가로 생산 능력을 이전하며 ‘두더지 잡기’ 게임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재생에너지 성장을 억제하려는 조치로 타격을 받은 미국 태양광 산업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고 평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