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사진=이데일리 DB)
워시 전 이사는 17일 CNBC의 대표 경제 프로그램 스쿼크박스(Squawk Box)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에 공개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것이 정당하다”며 “정책 운영 방식에서 ‘체제 변화(regime change)’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가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잘못 판단했다고 콕 집어 얘기한 것은 코로나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시기 급격한 물가 상승을 일시적 현상으로 판단, 금리 인상에 늑장 대응한 것을 지적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당시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자 2022년부터 빠르게 금리인상을 단행했지만,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워시는 이 시기를 지목하며 현 지도부의 실책을 지적한 것이다.
특히 그의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기준 금리 인하를 요구하며 연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게 사퇴를 압박하는 가운데 나와 주목을 받는다. 트럼프 대통령 측 고위 관계자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5일 공화당 의원들을 비공개로 만나 ‘파월 해임’ 방안을 논의했으며, 곧 실행에 옮길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해당 계획을 부인했다. 백악관은 금리 문제 외에도 워싱턴 DC의 연준 건물 2개에 대해 대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개보수 프로그램을 추진한 파월 의장을 비판해왔다.
워시 전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해임해야 한다고 보느냐의 질문에 “연준의 체제 전환은 때가 되면 자연스럽게 일어날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는 파월 의장의 정책 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기존 연준 인사들과도 의견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그는 현재 연준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균형을 잃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금리 인하가 그 균형 회복의 첫걸음”이라고 주장했다.
워시 전 이사는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 정책에 원칙적으로는 찬성하면서도 그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국가 부채가 36조 달러에 달하는 상황에서 재무부와의 공동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1951년에도 비슷한 상황에서 새로운 재무부-연준 협약(Treasury-Fed Accord)이 만들어졌다”며 “당시에도 국가 부채가 쌓였고 연준과 재무부가 따로 움직이면서 충돌했는데 지금이 바로 그와 유사한 상태”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현대판 협약을 도입, 시장에 명확히 ‘대차대조표 규모 목표’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시 전 이사는 모건스탠리 출신 금융전문가로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백악관 경제정책보좌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그동안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입장을 밝혀왔으나 최근 차기 연준 의장 하마평에 오르내리면서 연준의 자산 축소와 병행한 금리 인하 필요성을 언급하는 등 큰 입장 변화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