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금괴 관세 부과는 오해”…행정명령으로 바로잡을 듯

해외

이데일리,

2025년 8월 09일, 오전 03:32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국 백악관이 금괴 수입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정부 결정으로 시장이 혼란에 빠지자, 금괴는 관세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는 조치를 곧 발표할 계획이다.

(사진=AFP)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백악관 관계자는 “금과 기타 특수 제품의 관세 부과와 관련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해 행정명령을 조만간 게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익명을 요청한 백악관 관계자는 “행정명령을 통해 금괴 수입품이 관세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 직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현물과 선물 가격은 하락했다.

앞서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은 스위스와 기타 주요 정제 허브에서 미국으로 반입되는 1㎏·100온스 금괴를 ‘비가공 금’(unwrought)이 아닌 ‘반가공 금’(semi-manufactured)으로 분류해 39%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해 업계를 놀라게 했다. 이는 업계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대상에서 금괴가 제외될 것으로 예상해온 것과 배치됐다.

이 결정으로 뉴욕 금 선물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아시아 주요 정제업체 두 곳은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대미 금괴 선적을 중단했다. 스위스 귀금속협회는 “미국과의 물리적 금 교환과 국제 금 유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백악관이 금 수입 관세 부과설을 ‘오해’로 규정하고 정정에 나설 방침을 밝히자, 세계 금 시장을 뒤흔들었던 불안이 다소 진정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금이 구리·철강·알루미늄 등 기존 관세 부과 금속과 달리 금융자산이자 글로벌 통화로서 독특한 지위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해명이 시장 혼란을 완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