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기업 지분 확보’에 美초당적 지지…대만은 ‘경계’

해외

이데일리,

2025년 8월 21일, 오후 06:37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기업 보조금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자, 미 정치권이 초당적 지지를 보내고 있다. 진보 진영의 대표 인물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나섰다. 반면 대만에서는 자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갑작스러운 미국의 지분 확보 움직임에 당혹스럽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샌더스 상원의원은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보낸 성명에서 “연방정부로부터 막대한 보조금을 받는 반도체 기업이 이익을 낸다면, 미국 납세자들은 그 투자에 대한 합리적인 수익을 돌려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민간기업 지분에 정부가 직접 참여하는 문제를 놓고 샌더스 의원과 트럼프 대통령이 같은 입장을 보인 것은 이례적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통적으로 좌파 정책으로 여겨지는 국가 개입적 경제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로이터는 짚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샌더스 의원은 “3년 전 내가 제안한 수정안과 트럼프 행정부가 같은 입장을 보이게 돼 기쁘다”며 “인텔 같은 대기업에 수십억 달러를 퍼주면서 아무런 대가도 받지 않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2022년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입법 과정에서 재무부가 보조금을 받는 반도체 회사에서 담보나 지분, 선순위 채권 증서를 받지 않고서는 상무부가 보조금 지원을 승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수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미국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를 보유한 대만은 경계심을 드러냈다. 20일 국회 경제위원회에서 일부 의원들은 “미국이 지분을 확보한 뒤 TSMC 이사회에 진입해 경영 간섭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했다.

궈즈후이 대만 경제부장(장관)은 이와 관련해 “미국 정부가 TSMC 지분을 확보하려면 반드시 경제부 산하 외국인 투자 심사 기구인 투자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대만 경제부도 이날 TSMC 최대 주주(6.38%)인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와 함께 미국의 ‘숨겨진 의도’ 파악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이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아 미국에 공장을 짓는 기업들의 지분을 미 정부가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그 후보로 미국 마이크론, 대만 TSMC, 한국 삼성전자가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러트닉 장관은 보도가 나온 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텔 지분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텔에 배정된 보조금 109억 달러를 지분으로 전환할 경우 현재 시가총액 기준으로 미 정부가 취득할 지분은 10%에 이른다.

삼성전자와 TSMC가 배정받은 보조금은 각각 47억5000만 달러, 66억 달러다. 현재 각사 시가총액 기준으로 지분을 계산하면 삼성전자 발행주식의 1.6%, TSMC의 0.7%에 해당한다.

한편 대통령실은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 지분 확보를 검토 중이라는 외신 보도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1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한국 기업은 아직 보조금을 받은 곳이 없으며 기업에서도 받은 연락이 없다고 확인했다”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