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리(사진= AFP)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4일 자민당 차기 총재가 누가 되든 10월 금리 인상은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금리 스왑 시장에 따르면 10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한때 40% 중반까지 올랐지만, 9월 들어 급격히 하락하며 최근에는 30% 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반면 12월과 내년 1월의 인상 가능성을 합치면 약 50%에 달해, ‘연내 인상’은 유효하지만 ‘10월 인상’은 가능성이 희박해졌다는 분석이다.
시장의 시각이 바뀐 계기는 정치불확실성이 있다. 중의원 및 참의원 선거 연패에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자진사임을 결정했다. 내달 4일 자민당 총재 선거가 시행돼 새 총재가 등장한다고 해서 곧바로 정치가 안정될 것으로 보기 어렵다. 자민당과 공명당을 합해도 과반 의석을 점하기 어려운 상황서 다른 정당이 참여하는 ‘연립 확대’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닛케이는 설령 연립 확대 논의 없이 정권이 출범하더라도 신임 총리가 취임한 지 한 달도 안 된 상황서 일본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새 정권과의 소통 및 정책 협의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8년 현행 일본은행법 시행 이후, 신임 총리 취임 이후 금리가 인상된 사례는 손에 꼽을 정도다. 유일하게 2025년 1월 정책 변경이 있었는데, 당시에도 이시바 시게루 총리 취임 후 3개월 이상이 지난 시점이었다.
경제적 변수도 남아 있다. 일본은 미국과의 관세협상 타결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15% 관세가 부과된 상태다. 관세정책이 미국 경제와 일본 기업의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는 아직 미지수인 상태다. 닛케이는 “이는 2026년 춘투(노사 임금 협상)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일본은행이 주시하는 2026년 춘투 결과를 10월 시점에서는 예상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실제 일본은행은 내년도 임금 인상 예측 조사를 오는 12월 경제관측조사(단관)에서 기업의 임금 인상률을 조사하기 위한 새로운 조사를 준비할 전망이다.
다만 일본은행이 10월 인상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진 않을 전망이다. 급격한 엔화 약세 등 외환시장 불안 요인이 나타날 경우, 조기 대응을 위한 정책 여지를 남겨둘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