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위크에 따르면 최근 가족학연구소(IFS)가 발표한 조사 결과 만 18~64세 성인 남녀 1000명 중 ‘주 1회 이상 성관계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37%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0년의 55%에서 18%포인트(p)나 떨어진 수준이다.
성생활 감소는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졌다. 18~29세 응답자 중 최근 1년 동안 성관계를 하지 않았다고 답한 사람의 비율은 2010년 12%에서 지난해 24%로 두 배 늘었다.
같은 연령대에서 ‘파트너와 동거 중’이라고 답한 비율도 2014년 42%에서 2024년 32%로 줄었다. IFS는 “젊은 남녀가 함께 사는 비율이 감소하면서 규칙적인 성생활을 이어가는 경우도 줄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료=게티이미지)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관계의 변화가 이러한 상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20~30대가 친구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2010년 주당 평균 12.8시간에서 2024년 5.1시간으로 절반 아래로 감소했다고 조사했다. 스마트폰과 SNS가 일상화된 2010~2015년 사이 사춘기를 보낸 세대가 사회화에 덜 노출되면서 대인 관계와 친밀한 교류에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취약해진 대인관계가 성적 관계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이 같은 현상은 기혼 성인의 성생활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성관계를 한다는 응답은 1996~2008년 59%에서 최근 49%로 감소했다.
IFS는 보고서에서 디지털 혁명을 ‘전자 아편’이라고 표현하며, 디지털 콘텐츠 소비가 인간관계 형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했다. SNS,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 콘텐츠 등에 소비하는 시간이 늘면서 수면 시간은 줄고, 부부간 대화와 신체 접촉 등은 감소한다고 지적했다.
마크 레그네러스 텍사스대 사회학과 교수는 “사람들이 타인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점점 디지털 활동으로 대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단순한 개인의 사생활 문제를 넘어 사회 구조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미국 의회 예산처(CBO)는 향후 30년 동안 미국의 합계출산율이 인구 유지에 필요한 2.1명에 크게 못 미치는 1.6명 수준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그랜트 베일리 IFS 연구원은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삶의 대부분을 가상 세계에서 보내고 싶어하지만 실제로는 타인과 물리적으로 함께할 때 더 큰 행복을 느낀다”며 “미국은 다른 어떤 나라 못지않게 ‘성 불황’에 대해 우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