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30일 무역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예고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고, 한국이 총 3500억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추진하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구체적 조율이 남아 있어 합의 발효를 위한 서명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양국은 8일 워싱턴에서 실무협의, 12일 뉴욕에서 장관급 회담을 진행했으나 대미 투자 방식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측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지난 11일 방송 인터뷰에서 “한국이 협정에 서명하지 않았다”며 “수용하지 않으면 관세를 내야 한다”고 압박한 바 있다.
후속 협상이 난항에 빠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 여 본부장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봐달라”며 “국익에 최대한 부합하는 합리적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최근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 구금 사태와 관련해선 “그런 사안은 우리가 강하게 요청해야 한다”며 “미국 측에서도 다소 과했다는 인식이 있다. 우리 기업의 이해가 최대한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 일본이 16일부터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를 15%로 낮춰 적용받는 데 대해 “우리도 최대한 빨리 같은 수준으로 적용받을 수 있도록 협상 중”이라며 “과정에서 일희일비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국은 7월 합의에 따라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으나 아직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일본과 한국 자동차 간 미국 시장 내 관세 격차가 10%포인트 발생한 상태다.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의 구체적 방식과 관련해선 “모든 의견을 분석하고 있다”며 “어떤 선택이 우리에게 가장 최선의 결과를 가져올지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한미 통화 스와프와 관련한 질문에는 “구체적 사안을 일일이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며 답변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