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황 우려 현실화?…“엔비디아 중국용 새 AI칩 수요 저조”

해외

이데일리,

2025년 9월 16일, 오후 07:06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인공지능(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새로운 중국 수출용 RTX6000D 칩에 대한 현지 수요가 저조하다고 16일 로이터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사진=로이터)
소식통들은 RTX6000D 칩이 중국 시장을 겨냥해 AI 추론 작업용으로 설계됐지만 성능 대비 가격이 비싸다고 판단해 중국 일부 주요 기술 기업들이 주문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한 샘플 테스트 결과 해당 칩의 성능이 엔비디아가 올해 출시한 초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RTX5090에 뒤처진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RTX5090은 미국 정부의 대중 수출 통제에 포함되지만 여전히 암시장을 통해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가격은 중국 수출용 GPU인 RTX6000D(약 5만위안·약 970만원)의 절반 이하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AI칩인 H20 주문이 출하될지 여부를 두고 관망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은 올해 7월 H20의 중국 수출을 다시 허용했지만 출하는 아직 재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들 기업들은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겨냥해 준비 중인 차세대 AI 칩인 B30A가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을지 여부도 주시하고 있다.

H20를 비롯해 RTX6000D, B30A 모두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마련된 중국 맞춤형 저사양 칩들이다.

RTX6000D의 미지근한 수요는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낙관적인 전망과 대조적이라고 로이터는 짚었다. JP모건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올해 하반기에 약 150만 개의 RTX6000D가 생산될 것으로 예상했고, 모건스탠리는 7월에 엔비디아가 200만 개의 RTX6000D를 준비 중이라고 관측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주 RTX6000D 출하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엔비디아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시장은 경쟁적이며, 우리는 최상의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7월 중국 관영 매체에 출연해 “엔비디아의 부재에도 중국 본토의 혁신 기업들이나 화웨이와 같은 반도체 업체들이 시장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의 AI 시장은 엔비디아가 있든 없든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