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 이사 (사진=김상윤 특파원)
그는 “노동시장이 완화되고 인플레이션이 2% 목표에 근접한 상황에서 통화정책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성장률은 여전히 견조한 반면 고용은 정체돼 있어 데이터 간 괴리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성장이 둔화돼 노동시장과 일치하거나, 노동시장이 회복돼 성장세에 맞춰질 필요가 있다”며 “이 같은 불확실성 속에서 금리를 조정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월러 이사는 또 “정부 셧다운으로 9월 고용보고서와 소매판매, 물가지표 등 주요 통계가 지연되고 있다”며 “정책 판단에 필요한 공식 데이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간 자료는 보조 수단일 뿐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기업 현장의 의견을 토대로 한 분석에서는 노동시장 약화와 견조한 소비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용주는 추가 채용을 꺼리는 대신 인력을 유지하고 있고, 소매업체들은 저소득층 소비 위축을 체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가에 대해서는 비교적 낙관적인 입장을 보였다. 월러 이사는 “관세 효과를 제외하면 기조 인플레이션은 목표치에 근접해 있다”며 “시장 기대가 안정돼 있고 임금 상승 압력도 완화된 만큼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으로 2%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그는 향후 노동시장의 두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나는 소비와 GDP의 견조함에 따라 고용이 점차 회복되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중·저소득층 소비 위축으로 노동시장이 추가로 약화되는 시나리오다. 그는 “상위 20% 가구가 전체 소비의 35%를 차지하지만 하위 60%는 45%를 담당하면서도 부의 15%만 보유하고 있다”며 “물가와 금리 변화에 훨씬 취약하다”고 분석했다.
또 월러 이사는 인공지능(AI)의 확산이 노동 수요에 미칠 영향에도 주목했다. 그는 “여러 소매업체가 AI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는 대신 내년 고용을 줄일 계획”이라며 “월마트 역시 AI 도입으로 향후 3년간 순고용을 동결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그는 “AI가 단기적으로는 일자리를 줄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생산성 향상과 복지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러 이사는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은 제한적이며, 장기 기대가 안정된 만큼 물가는 목표 수준에 근접했다”며 “앞으로의 통화정책은 노동시장 동향이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몇 달간 경제지표 흐름이 금리 인하의 속도와 폭을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