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당시 포고문에 따르면 자동차 제조사가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의 가치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1년간 줄이고, 그다음 해에는 10%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가 줄어든다.
이에 따라 미국 상무부는 자동차 제조사가 올해 4월부터 1년간 미국에서 조립한 모든 자동차의 권장소비자가격을 합산해 그 금액의 3.75%를 부품 관세를 상쇄하는 데 쓸 수 있도록 했다. 그 이후 1년간은 권장소비자가격 총액의 2.5%를 관세 상쇄에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그 다음해에는 이 같은 경감 조치가 완전히 폐지될 예정이었는데 이것이 연장되는 것이다.
관련 발표가 이르면 17일 이뤄질 수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수입 트럭에 대한 관세 부과 공식 시행이 함께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결정은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 등 자국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의 강력한 로비 끝에 이뤄졌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차와 자동차 부품, 철강 및 알루미늄 같은 소재까지 관세를 부과하면서 생산 비용이 크게 상승해 압박을 받고 있다.
포드의 짐 팔리 최고경영자(CEO)는 일본산 자동차 수입에 대한 관세를 기존 27.5%에서 15%로 인하하는 미일 무역협정이 도요타 등 일본 업체들에게 미국 내 생산 모델 대비 차량 1대당 수천 달러의 비용 우위를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수입 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이날 뉴욕증시 시간외 거래에서 GM 주가는 1% 가까이 상승했다.